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결국 자진 사퇴(辭退)했다. 지난달 23일 지명된 지 30일 만이다. 대통령실의 인사청문 경과 보고서 송부 요청 기일인 24일 하루 전날까지 버텼지만 더는 이어 가지 못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강 후보자 임명 강행 의지를 보였으나, 대통령에게 끼칠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부담 때문에 전격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강 후보자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모든 것을 쏟아부어 잘 해보고 싶었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며 사퇴 소회를 밝혔다. 또 "믿어주시고 기회를 주셨던 이 대통령님께도 한없이 죄송한 마음뿐"이라고 썼다.
강 후보자가 청문 보고서 송부 하루 전날 갑자기 사퇴 결심을 하게 된 것은 이날 한꺼번에 터져 나온 각종 의혹과 사퇴 요구 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국회의원이 되기 전 모 대학 겸임교수 시절 일방적인 '무단 결강(缺講)'이 5주 동안 계속됐다는 당시 수강생의 증언이 이어졌고, '책임감 없는 사람' '장관 자격이 없다'는 반응까지 나왔다. 게다가 강 후보자에 대한 '부적합' 답변이 60%가 넘는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이날 발표됐고, 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박찬대 의원의 공개 사퇴 요구도 있었다.
앞서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은 보좌진 사적 심부름을 시작으로 쏟아졌다. 보좌진들 사이에서 부당한 처우(處遇)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장관 상대 '보복성 갑질' 사례까지 제기됐다. 그런 중에 '의원 갑질은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는 성격이 다르다'는 등 민주당 동료 의원들의 옹호성 발언이 나오면서 역풍을 맞아 여론이 더욱 악화되기도 했다.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한 달간 이어진 '갑질 및 임명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이중 잣대 문제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았다. 이번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와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계기로 부적격 인사 지명, 후보자 '내로남불' 옹호 등의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여야를 막론하고 인사 검증 시스템 개선 등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대구 찾은 조경태, 강력한 인적 쇄신 강조 "한남동 관저 앞 45명 인적청산"
홍준표 "해산될 정당으로 안 돌아가…9월부터 홍카콜라 재개"
李대통령 "재난상황에 '음주가무' 정신나간 공직자 엄벌"
강선우 감싼 與 "보좌관·의원 갑질은 일반 갑질과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