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국-EU, 15% 관세 합의 초읽기…韓에도 간접 영향 가능성

30% 고율관세 피하려 절충안 추진…EU, 보복관세도 준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회담을 하고 있는 모습. UPI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회담을 하고 있는 모습. UPI 연합뉴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적용하는 무역 합의에 근접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1일부터 예고한 30%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절충안으로, 양측은 일부 품목의 면세와 자동차 관세 조정 등을 포함한 포괄적 협의를 진행 중이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EU의 대미 수출 품목 대부분에 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안했고, EU도 이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의견 접근을 보이고 있다. FT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양측이 자동차, 항공기, 의료기기 등 일부 품목은 관세 면제 또는 인하 대상으로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EU는 이와 별개로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총 930억 유로(약 150조원) 규모의 보복관세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으며, 오는 24일 이를 회원국 표결에 부칠 계획이다. 이는 기존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증류주 등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조치를 통합한 것이다.

이번 합의가 성사되면, 전날 타결된 미·일 무역협상과 유사한 15% 수준의 상호관세가 EU에도 적용된다. 현재 EU산 제품은 평균 4.8% 관세에 더해 미국이 지난 4월부터 일방적으로 부과한 10%의 '기본관세'까지 적용되고 있다. 업계는 이 15%가 사실상 '현상 유지'라고 분석한다. 현재 27.5% 수준인 자동차 관세 역시 15%로 조정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러한 논의는 EU뿐 아니라 한국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본과 EU가 15% 상호관세율을 수용하면서,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 역시 유사한 관세안을 압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