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연합(EU)이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적용하는 무역 합의에 근접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1일부터 예고한 30%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절충안으로, 양측은 일부 품목의 면세와 자동차 관세 조정 등을 포함한 포괄적 협의를 진행 중이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EU의 대미 수출 품목 대부분에 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안했고, EU도 이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의견 접근을 보이고 있다. FT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양측이 자동차, 항공기, 의료기기 등 일부 품목은 관세 면제 또는 인하 대상으로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EU는 이와 별개로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총 930억 유로(약 150조원) 규모의 보복관세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으며, 오는 24일 이를 회원국 표결에 부칠 계획이다. 이는 기존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증류주 등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조치를 통합한 것이다.
이번 합의가 성사되면, 전날 타결된 미·일 무역협상과 유사한 15% 수준의 상호관세가 EU에도 적용된다. 현재 EU산 제품은 평균 4.8% 관세에 더해 미국이 지난 4월부터 일방적으로 부과한 10%의 '기본관세'까지 적용되고 있다. 업계는 이 15%가 사실상 '현상 유지'라고 분석한다. 현재 27.5% 수준인 자동차 관세 역시 15%로 조정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러한 논의는 EU뿐 아니라 한국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본과 EU가 15% 상호관세율을 수용하면서,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 역시 유사한 관세안을 압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강선우 다음 타깃된 안규백…국힘 "병적기록 공개 거부는 군 모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