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 동력과 자원 안보 차원에서 폐배터리 관련 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2차전지 산업을 육성하는 대구경북도 지역 산업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경제인협회가 24일 발표한 '신산업 제안 시리즈-폐배터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수명이 다한 모빌리티는 2023년 17만대에서 2040년 4천227만대로 급증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은 2023년 108억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7% 성장해 2040년 2천89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광물은 호주, 중국, 콩고 등 일부 국가에서 생산 및 정제를 담당하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은 주요 광물의 생산비용 절감은 물론 수입의존도 완화를 통한 공급망 리스크를 낮출 수 있다.
대구경북은 배터리 소재에 이어 배터리 재사용과 재활용을 아우르는 리사이클 산업 육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
대구시는 2차전지 순환파크 조성과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시험평가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 경북도는 지난 5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AI 기반 사용후 배터리 평가 및 재사용 지원 기반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산업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에코프로CNG, 피엠그로우 등 유망 기업들이 이미 포항에 다수 포진해 있다.
하인성 경북테크노파크 원장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둔화) 현상으로 성장세가 잠시 주춤했지만 2차전지 산업의 장기적 성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은 단순히 사용을 연장하는 차원을 넘어 공급망,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이라며 "산학연관이 긴밀히 협력해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강선우 다음 타깃된 안규백…국힘 "병적기록 공개 거부는 군 모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