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철수 "전당대회 룰 현행 유지해야…민심 반영 비율 하향은 자충수"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주유엔 한국대표부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주유엔 한국대표부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권 도전을 선언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전당대회 룰을 현행 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당내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를 중심으로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원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안 의원의 이 같은 입장은 자신의 대중적 인지도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안 의원은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현행 70 대 30인 당원투표와 일반 여론조사 비율을 바꾸는 것에 대한 우려 사항을 말씀드린다"며 "총선 승리를 위해 외연확장을 하려면 민심 비율을 더 늘리는 것이 합리적이지만 이견이 첨예하게 부딪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현행 유지가 최선"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얻은 1천639만4천815표(48.56%)는 국민의힘 당원들과 비당원 우호층(중도층)이 연합해서 만든 결과"라며 "다음 총선에서 우리 국민의힘은 그 이상을 얻어야만 승리할 수 있다"고 썼다.

안 의원은 "이번에 비당원 우호층의 참여를 더 줄이거나 아예 막아버리고 총선에서 지지를 호소하는 것은 이율배반"이라며 민심 비율을 낮추는 데 반대했다.

그러면서 "민심 반영 비율을 낮추는 것은 중도층과 멀어지는 자충수"라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100% 당원 투표 주장도 있는데 그런 논리라면 대의원만 투표해도 되고 더 줄인다면 국회의원들만 투표해도 된다. 극단적으로는 그냥 대통령이 임명하면 될 일 아니겠느냐"라고 반박했다.

또한 "특정인을 견제하기 위해 룰을 바꾸는 것은 당당하지 못하다. 현재 룰대로 해도 민심과 당심을 거스르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며 "중도층의 참여를 끌어내지 못하면 실패한 전당대회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비대위를 출범시키는 과정에서 여러 갈등을 표출하며 국민들께 실망을 안겼다. 여기서 더 민심에 역행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지지 후보를 묻는 여론조사에서 다른 당 지지자의 답변을 차단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과 관련해서는 "당대표 선거이기 때문에 충분히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미 직전 당대표 선거에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으로 한정하여 여론조사를 했으니 이번에도 그대로 하면 된다"고 밝혔다.

한편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17∼19일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이날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적합도에서 유승민 전 의원이 26%로 가장 높았고, 안철수 의원·나경원 전 의원이 각 10%로 뒤를 이었다.

차기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김기현 의원은 3%, 주호영 원내대표는 2%로 각각 나타났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