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개최된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의 추진전략 및 성과 보고회에서 "통합을 위해서는 우리 사회가 단순한 평등을 넘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국민 개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면서 국민 전체가 조화롭게 소통하는 방향을 국민통합의 차원에서 고민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과 민간위원 및 정부위원, 특위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 국민통합 추진전략 및 핵심과제를 확정하고, 2022년 하반기 운영된 '장애인이동편의 증진' 및 '대·중소기업 상생', '팬덤과 민주주의' 등 3개 특위의 활동 성과를 보고했다.
위원회는 이날 ▷다양성 존중 ▷사회갈등 및 양극화 해소 ▷신뢰에 기반한 공동체 실현 ▷국민통합 가치 확산을 4대 전략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4대 정책 8개 과제를 5년간 꾸준히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 2023년에는 '사회적 약자'와 '청년'이라는 두 가지 큰 주제를 바탕으로 구체적 현안에 대해 특위를 가동, 실질적 해법을 도출하기로 했다.
격차와 불평등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사회적 약자'를 위해 도움이 필요한 곳을 '더 넓게 더 두텁게'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사다리에서 떨어진 중산층' 등 새로운 약자층을 위한 안전망도 고민할 계획이다.
사회·경제적 양극화로 청년들이 겪는 고통과 불안을 해소하고 미래 사회 희망인 청년들에게 공정한 기회와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청년 특위'를 상시 가동해 체감 과제를 연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중 '청년 정치참여 확대 특위'를 시작으로 청년 젠더, 자립준비 아동·청소년 보호 등 시의성 있는 특위 과제를 이어가기로 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국민통합을 위해 '꼭 해야 할 일들'과 '할 수 있는 일들'을 검토해 앞으로 5년 간 추진할 로드맵으로 국민통합 추진전략과 핵심과제를 선정했다"며 "내년에는 '사회적 약자'와 '청년'이라는 두 주제를 큰 틀로 하고 국민적 관심과 시의성이 높은 과제들을 택해 그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
전한길 "이재명, '민감국가 지정' 핵무장론 탓? '가짜뉴스'…반박해 보라" [뉴스캐비닛]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