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수소도시' 올해 본격 구축…공동주택·교통 에너지원 활용

지자체 6곳 4년간 400억원 투입…수소에너지 생산·이송·활용시설 구축
블루밸리산단에 생산시설 실증

포항시 수소도시 조성 조감도. 경북도 제공
포항시 수소도시 조성 조감도. 경북도 제공

포항시가 '수소도시'로 새롭게 조성된다. 앞으로 포항시는 지역 내 수소를 적극 활용하는 미래형 도시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국회에서 예산 52억5천만원이 확정됨에 따라 올해 포항을 비롯해 평택, 남양주, 당진, 보령, 광양 등 6개 도시에서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수소 에너지원을 공동주택, 건축물, 교통시설에 활용하도록 수소생산시설과 이송시설(파이프라인·튜브 트레일러), 활용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앞서 국토부는 울산, 전주·완주, 안산 세 곳을 이미 시범도시로 선정해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에 수소도시로 신규 선정된 6곳에는 지자체당 4년간 400억원(국비 200억원·지방비 2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내년에는 국비 52억5천만원에 같은 규모의 지방비를 더해 105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포항시는 제철소를 통한 수소공급여건이 우수한 지역으로 블루밸리산단에 수소연료전지사업 기반시설 구축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공공주택, 공공시설 등에 수소연료전지 설치, 수소버스 보급과 함께 연계사업으로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제철소 수소생산시설과 블루밸리산단을 연결하는 약 15.4km의 수소 배관과 통합안전운영센터 등 수소도시 인프라를 설치할 예정이다.

지역특화사업으로는 블루밸리산단 내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수소생산시설 실증 등을 추진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간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는 수소도시 조성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라며 "또한 수소도시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 수소도시 조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 에너지비용 절감, 탄소배출 저감 등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도 보다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