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 대통령을 운 대통령으로'…美 백악관 대변인 말실수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 공군 1호기로 향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이날부터 5박 7일 일정으로 미국을 국빈 방문한다. 국빈 방미는 2011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 공군 1호기로 향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이날부터 5박 7일 일정으로 미국을 국빈 방문한다. 국빈 방미는 2011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미국 국빈 방문길에 오른 가운데, 미국 백악관에서는 대변인이 윤 대통령을 '운 대통령'으로 잘못 부르는 실수를 저질렀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1일(이하 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기자들에게 설명하며 "바이든 대통령 부부가 오는 수요일 국빈 방문하는 윤 대통령과 김 여사를 맞이한다"고 말하는 과정에서 윤 대통령을 '운 대통령'이라고 발음했다.

장-피에르 대변인은 관련 사항을 전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운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할 예정이며, 운 대통령과 김 여사를 국빈 만찬에 초대한다"고 말했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초대해 일정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상대 국가 수장의 이름을 브리핑 내내 잘못 발음한 사례는 이례적이다.

12년 만에 한국 대통령이 미국을 국빈 방문하면서 이번 방미의 성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국빈 방문 일정 직전에 터진 도청 의혹부터 윤 대통령이 로이터 통신과 한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 가능성 및 대만 문제에 대한 언급 등으로 국내외에서 논란이 일었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중국이 역대 가장 강한 목소리로 비난의 메시지를 내놓은 상황에서, 미국은 한미 동맹 강조 및 동맹국‧파트너와 함께 대만 해협의 평화를 위해 애쓰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놓았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핵억제 강화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한국 기업의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등 가시적인 성과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