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국 IRA 세부지침 호재…K-배터리 소재·부품업체 투자 불 붙는다

포스코퓨처엠, 포항블루밸리 국가산단에 전구체-니켈 생산공장 신설
IRA 지침상 ‘부품’→북미 진출, ‘광물’→국내 공장 설립…전략 나뉘어

미국 정부가 발표한 전기차 보조금 지급 관련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부지침이 시행되며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투자도 가속화하고 있다. 사진은 국내 한 전기차 충전소 로고.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발표한 전기차 보조금 지급 관련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부지침이 시행되며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투자도 가속화하고 있다. 사진은 국내 한 전기차 충전소 로고. 연합뉴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국내 배터리 기업의 투자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3월 말 IRA 세부지침이 발표된 뒤 배터리 부품 규정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이 배터리 업계엔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배터리를 구성하는 제품이 '부품'이나 '광물' 중 무엇으로 분류되느냐에 따라 업체들의 전략은 달라지는 모양새다.

국내 배터리 소재 기업 중에서 가장 공격적으로 신규 투자에 나선 기업은 포스코퓨처엠(옛 포스코케미칼)을 들 수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3일 세계 최대 코발트 생산 업체인 중국 화유코발트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사는 합작사를 설립해 오는 2027년까지 1조2천억원을 투자해 포항블루밸리 국가산단에 전구체와 니켈 원료 생산공장을 건립할 예정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를 통해 '니켈-전구체-양극재 밸류체인 클러스터'를 완성하고, 현재 연 10만5천t의 양극재 생산량을 2030년까지 61만t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양극재는 전기차의 주행거리와 출력 등을 결정하는 배터리 핵심 소재다. 전구체는 양극재 제조 과정에서의 원료 물질이다.

최근 국내에서 양극재와 전구체 생산시설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한 이유는 이 소재가 IRA 세부지침상 배터리 '부품'이 아닌 핵심 광물에 준하는 '구성 소재'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반면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 배터리 셀 등은 부품으로 규정됐다.

배터리 부품으로 간주되면 북미에서의 제조·조립 필요성이 커지지만, 구성 소재로 분류되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인 한국에서 생산해도 IRA에 따른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IRA에 따르면 전기차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 북미에서 제조·조립된 배터리 부품 비율은 올해 기준 50%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이 비율은 내년부터 매년 10%씩 상향된다.

부품 분야도 북미 현지 생산 요건만 충족한다면 한국 기업 입장에선 나쁠 게 없다. IRA는 사실상 중국산 제품의 시장 진입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업체는 반사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분리막 생산 기업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올해 안으로 북미 투자 결정을 내리기로 했고, LG화학 역시 북미에 분리막 공장 신설을 검토 중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