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여야 지도부 나란히 참배

김진표 "노무현 전 대통령, 지역주의 극복을 필생의 과업 삼아…정치개혁 유업 완수할 것"
김기현 "더 이상 전직 대통령에 대한 흑역사 반복 안돼…전직 대통령 예우 및 존중해야"
노무현·윤석열 정부 한덕수 국무총리…추도사 과정에서 참석자들 강한 반발 터져 나와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서 분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23일 오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서 분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서 권양숙 여사와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서 권양숙 여사와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 지도부는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 대통령 묘역 인근 생태문화공원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

이날 진행된 노 전 대통령 추도식에는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여야 지도부, 정부 측에선 한덕수 국무총리가 함께 했고, 문재인 전 대통령 내외와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해찬 전 민주당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 노무현 정부 출신 인사들을 비롯해 주최 측 추산 7천여명이 참석했다.

추도사는 김진표 국회의장과 한덕수 국무총리,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대표로 낭독했다. 아울러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인사말을 끝으로 폐회한 뒤 다 같이 참배 후 마무리 됐다.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부총리를 지냈던 김진표 의장은 추도사에서 "대통령께서는 지역주의 극복을 필생의 과업으로 삼으셨다"며 "대통령님이 남긴 정치개혁의 유업을 완수하는 것이 제가 풀 마지막 숙제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추도사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23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추도사 하고 있다. 연합뉴스

마찬가지로 노무현 정부 출신인 한덕수 국무총리는 "노 전 대통령은 국정 모든 분야에서 시대정신을 구현하고 대한민국의 새 역사를 만들기 위해 헌신했다"며 "그중 가장 힘쓴 국정과제는 바로 국가 균형발전이었다. 어디서나 누구나 다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을 꿈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08년 대통령님이 고별만찬에서 해준 말씀을 기억한다. 강은 반드시 똑바로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그 어떤 강도 바다로 가는 것을 포기하지는 않는다고 하셨다"며 "그 말씀대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을 완수하겠다"고 언급했다.

한 총리가 추도사를 낭독할 때는 참석한 시민들이 크게 반발하면서 '내려와라', '배신자', '꺼져라' 등의 고성이 오갔다. 진행자의 자제 요청에도 계속되며 발언이 안 들릴 정도로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여야 지도부는 공식 추도사 대신 참배를 함께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개인적으로 직전 대통령으로부터 엄청난 정치적 박해를 받았던 피해 당사자"라며 "대한민국 정치 선진화를 위해서는 더 이상 전직 대통령에 대한 흑역사가 반복돼서는 안 된다. 생각과 철학을 달리한다고 하더라도 전직 대통령으로서 예우하고 그에 대한 존중의 뜻을 표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민주주의가 다시 퇴행하고 노무현 대통령이 꿈꾸셨던 역사의 진보도 잠시 멈췄거나 과거로 일시 후퇴하는 것 같다"며 "노무현 대통령께서 꿈꾸셨던 사람 사는 세상, 반칙과 특권 없는 세상을 향해서 깨어있는 시민들과 함께 조직된 힘으로 뚜벅뚜벅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언급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