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벤처 투자규모 6개 광역시 중 5위 "혁신기업 벤처금융 활성화 필요"

3일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에서 제언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의뢰로 작성한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의뢰로 작성한 '지역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지역 벤처금융 활성화 방안'에 담긴 지역별 벤처투자 규모 그래프.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대구지역 벤처 투자규모가 서울시를 제외한 6개 광역시 중 5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최근 5년간(2018~2022년) 4만4천여명의 인구가 유출되는 상황 속에서 지역혁신기업 육성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층 지역 정주여건 강화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 주도의 일자리 생성이 가능해지기 위해선 지역 내 벤처금융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은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의뢰로 작성한 '지역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지역 벤처금융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무엇보다도 지역 혁신기업의 밑거름이 되는 벤처투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지역 스타트업의 경우 자금조달 여건이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가 제시한 중소벤처기업부의 지난해 지역별 국내 벤처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벤처투자의 79.7%가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5대 광역시(부산·대구·광주·울산·대전)는 11.4%, 지방은 8.9%에 그쳤다. 이중 대구는 585억원으로 6개 광역시 중에서는 광주(394억원)에 이어 5번째로 낮았다.

보고서는 지역 내 벤처투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 ▷지역 민간 벤처금융 설립을 위한 제도 구축 ▷투자자금 회수시장 활성화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육성 등을 제시했다.

오 회장은 "벤처금융이 고위험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사업인 만큼 벤처금융 설립 시 세제 지원, 벤처금융 종사자들의 정주 여건 조성 등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투자를 받은 벤처기업이 성장하면서 투자자금 회수가 가능하도록 인수·합병(M&A) 시장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수합병에 요구되는 절차를 간소화하고 세금 감면 및 매칭펀드 지원 등 인센티브를 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역혁신기업 육성으로 지역 청년들의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는 것이, 저출산·저성장을 해결하고 추락하는 성장동력을 확충하는 중요한 첩경이며 기존 벤처캐피털(VC)보다 전략적 투자가 가능한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오 회장은 "CVC 시장이 활성화된 미국과 일본에서 보이는 벤처캐피털 투자는 재무적 수익보다 미래 사업을 위한 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목적의 전략적 투자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난다. 전략적 목표를 통해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