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부터 정부가 인도 위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과태료 부과를 강화하는 가운데 대구시가 이달부터 어린이보호구역과 상습·불법 주정차 지역을 중심으로 계도보다 단속 위주의 대응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불법주정차를 방지하는 고정형 단속카메라 등 장비도 본격 확충한다.
대구시의 강화된 불법주정차 대응 기조는 기존 계도에 집중하는 방식의 단속이 실질적인 주차질서 확립에 한계를 노출하고 있고, 과태료 부과를 통해 불법주정차를 효과적으로 줄여나가겠다는 차원에서다.
도심 내 주차공간 부족, 차량의 지속 증가에 따른 불법주정차 민원이 증가하는 가운데 고질적인 안전무시 관행을 근절하고 운전자의 교통안전 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이다. 대구시내 올 상반기 불법주정차 단속 건수는 29만6천여건으로 2021년(63만1천793건), 2022년(61만3천185건) 대비 소폭 감소하는 추세였다.
대구시는 이달부터 어린이보호구역 39곳과 상습불법주정차 지역 29곳을 대상으로 대구시 기동단속반의 불법주정차 단속 및 계도에 나선다. 단속이 중점적으로 이뤄지는 어린이보호구역 39곳은 2020~2022년 3년 간 어린이보행자 사고가 발생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 중 13곳은 달서구에 몰려 있다.
시는 등·하교 시간(오전 7시30분~9시, 정오~오후 2시)을 중심으로 이들 초등학교 정문 앞 도로가 다른 교차로와 만나는 구간까지 불법 주정차 실태를 점검하고 중점 단속해 위반 내용을 각 구·군에 통보할 방침이다.
상습 불법주정차 지역 29곳은 각 구·군의 단속희망 장소를 위주로 선정했다. 대구시는 인도, 황색실선구간, 횡단보도 등 불법 주·정차를 단속해 교통흐름을 개선하고 안전 위험을 줄여 나간다.
2억1천만원을 투입해 불법 주정차 지역 고정식 CCTV도 12곳에 확충한다. CCTV 추가 소요 파악 후 내년 예산편성에도 나선다.
신규원 대구시 교통정책과장은 "구·군이 인력이나 단속장비의 한계를 느끼는 부분에 대해 대구시 차원에서 힘을 보태는 부분"이라며 "다수 민원 발생 지역에 대한 단속 역시 수시로 추가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