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이 30일 어려움을 겪는 버스와 버스 터미널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규제 개선과 지원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유가연동 보조금을 연장하고, 창고형 물류시설 등 편의시설이 입주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버스-터미널 서비스 안정화 방안' 당정협의회를 열었다. 당정은 논의 끝에 ▷버스 교통의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오래된 규제 개선 ▷서비스와 안전 고도화 등 세가지 정책 목표 설정을 제시했다.
우선 차량 교체 비용 부담이 운행 축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2025년 말까지 차량 사용연한이 만료되는 시외고속버스를 대상으로 차량 사용 연한을 1년 연장한다. 또 버스 수하물 운송 규격제한을 우체국 택배 수준으로 완화한다. 탄력적인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전세버스 차고지를 등록지 인접지역에 설치하는 등 각종 규제 완화를 적극 추진한다.
안정적인 운행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경유와 CNG(천연가스) 유가연동보조금 연장을 검토한다. 대형면허 취득 비용을 지원하는 한편, 인력양성 과정에서 교육생을 지원하는 등 취업 지원사업을 확대한다.
국민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고속버스 정기권과 프리미엄 버스 확대를 추진한다.
버스터미널에는 창고 물류시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들어설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현장 매표소는 무인 발권기로 대체한다.
영세터미널에 대해서는 재산세를 감면하는 한편, 터미널이 갑자기 휴·폐업을 하지 않도록 '터미널 휴·폐업 사전신고제'를 도입한다. 복합환승센터를 구축해 주요 터미널이 교통 거점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김정재 의원은 "국민의힘은 정부와 협조해 국민 이동권 확보에 필요한 여객자동차법 등의 규제 개선을 검토하겠다"며 "내년도 예산 심의과정에서도 벽지 노선 지원, 공공형 버스 등 국민 이동권 확보에 필요한 사업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증액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백원구 2차관은 "버스터미널 (경영의) 어려움은 운영자의 손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이용하는 국민들, 특히 지방이나 낙후지역 주민들의 이동권에 큰 제약을 준다"며 "버스와 터미널 등 버스·교통 체계가 국민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는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당에서는 박대출 정책위의장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정재 의원 등이 참석했고, 정부에서는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 등이 자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홍준표 "탄핵 기각되면 대구시장 계속…역점적으로 사업 추진"
"불타버린 삶, 이제 어디로"… 의성산불 이재민들, 무너진 일상에 눈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