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한 고속열차(KTX)의 이용객이 10억명을 돌파했다. 고속철도 개통 이후 19년 5개월 만이다.
30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지난 2004년 4월 1일 첫 운행을 시작한 KTX가 31일 누적 이용객 10억명을 넘어설 예정이다.
5천만 국민이 한 사람당 20번씩 KTX를 탄 셈으로, 2015년 누적 이용객 5억명을 돌파한 지 약 8년 만의 기록이다.
올해 KTX 하루 평균 이용객은 22만6천명으로, 2004년 7만2천명과 비교하면 3배 넘게 증가했다.
이용객은 매년 증가 추세로 누적 이용객 N억명 달성 기간도 점점 빨라지고 있다.
5억명 달성은 개통 후 11년 5개월 만인 2015년 9월이고, 이후 10억명까지 걸린 시간은 7년 11개월로 5억명 때보다 3년 5개월을 앞당겼다.
KTX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간은 '서울∼부산'으로, 하루 평균 1만7천명이 타고 내린다. 서울∼동대구와 서울∼대전 구간은 각각 1만2천명이 이용한다.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은 서울역(9만4천명)으로 경부·동해·경전·호남·전라·강릉선 등 모두 6개 노선 열차가 출발한다.
KTX 개통으로 정기승차권을 활용하는 '장거리 출퇴근족'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정기권 이용객은 404만명으로, 개통 첫 해 46만7천명과 비교하면 8.7배가량 증가했다.
같은 기간 KTX 하루 이용객이 3.2배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정기권 이용객이 훨씬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인다.
정기권 이용객은 서울∼천안아산 구간이 전체의 17.1%로 가장 많고, 서울∼오송 구간이 11%로 뒤를 잇는다.
승차권 예매 방식에도 변화가 생기면서 모바일 앱 '코레일톡'과 홈티켓 등 비대면·온라인을 이용한 승차권 자가발권 비율이 급증하고 있다.
KTX 개통 초기 역 창구 발권이 85%에 달했으나 올해 7월 기준 10명 중 9명이 온라인(89.2%)으로 승차권을 구매하고 있다.
코레일은 2020년 추석부터 명절 열차 승차권 100% 비대면 예매를 시행하고 있다.
KTX 누적 운행 거리는 지구 둘레(4만㎞)를 1만5천500바퀴를 돈 것에 해당하는 6억2천만㎞로 분석됐다.
10억 명이 이동한 거리를 모두 합한 2천520억㎞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1억5천만㎞)를 840번 왕복한 것과 같다.
2004년 개통 첫해 경부·호남 2개 노선·20개 역에만 다니던 KTX는 현재 전국 8개 노선·67개 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KTX 이용객 10억명 돌파는 국민과 함께 이룬 소중한 성과이자 대한민국 성장의 기록"이라며 "더 안전하고 스마트한 코레일을 위해 서비스·디지털 혁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