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kWh(킬로와트시)당 평균 10.6원 인상된다. 주택용과 소상공인·중소기업용 전기요금은 경제에 미치는 부담을 고려해 동결한다.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과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전기요금 인상 방안'을 발표했다.
한전은 2021년 이후 누적 적자가 47조원, 올해 상반기 기준 부채가 201조원에 달하는 등 재무 부담이 가중돼 왔다. 이에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전기요금 인상이 계속 거론돼 왔다.
당초 정부는 올해 필요한 전기요금 인상 폭을 kWh당 51.6원으로 산정했지만, 지난 1분기(1∼3월)와 2분기를 합해 요금 인상 폭은 kWh당 21.1원에 그쳤다.
이에 따라 한전은 이번에 산업용(약 44만호) 중에서도 대용량 고객인 산업용(을) 전기요금을 kWh당 평균 10.6원 인상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이 사용하는 산업용(갑) 요금은 동결한다.
지난해 기준 산업용(을) 전기를 이용하는 고객은 약 4만2천호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체 이용 고객의 0.2% 수준이다.
다만 이들의 전력 사용량은 26만7천719기가와트시(GWh)로, 총사용량(54만7천933GWh)의 절반(48.9%)에 육박할 정도로 많다.
한전은 산업용(을) 요금도 시설 규모 등 요금 부담 여력을 고려해 전압별로 세부 인상 폭을 차등화했다.
산업용(을) 가운데 고압A(3천300∼6만6천V 이하)는 kWh당 6.7원, 고압B(154kV)와 고압C(345kV 이상)는 kWh당 13.5원을 각각 인상한다.
산업부에 따르면 산업용(을) 고압A 사용기업의 월평균 사용량은 228MWh로, 현재 전기요금은 월평균 4천200만원 수준이다.
산업부는 이번 요금 인상으로 같은 전력을 사용하는 기업의 전기요금은 약 4천400만원으로, 부담이 200만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한전은 이날 물가와 서민경제에 미치는 부담을 고려해 주택용 및 소상공인용 전기요금은 동결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 연료 가격과 환율 추이 등을 예의주시하며 요금조정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혀 추가 인상 여지를 남겼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브리핑에서 "전기요금 인상으로 부담을 드려 대단히 송구하다. 뼈를 깎는 한전의 자구노력을 계속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는 "200조원이 넘는 한전의 부채는 한전만의 위기가 아니라 전력산업 전체를 위협하고 있다"며 "위기를 빠르게 극복할 수 있도록 이해하고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강경성 산업부 2차관은 대기업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인상 대상이 된 기업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커 부담할 능력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대기업들이 값싼 전기를 대량으로 사용한 혜택을 누려왔다"며 "기업들이 충분히 경영효율이나 에너지효율을 높여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