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가 크게 올라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올해 3분기 먹거리 물가는 5~6% 정도 올랐지만 '여윳돈'인 가처분가능소득은 3% 늘어나는 데 그쳤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 3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평균 397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1% 늘었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이었지만 가공식품과 외식의 물가 상승률은 6.3%와 5.4%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이자·세금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한다. 즉 '여윳돈'인 처분가능소득 증가분에 비해 먹거리 물가가 훨씬 더 오르면서 일상생활에 더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저소득층은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1%에 못미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지난해 3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지속되는 중이다. 지난해 2분기에는 코로나19 기저효과와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효과 등으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14.2%로 먹거리 물가 상승률을 압도했다.
그러나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지난해 3분기 2.0%로 뚝 떨어졌다. 이후 2∼3% 수준에 머물다가 올해 2분기에는 -2.8%로 마이너스(-)로 전환하기도 했다.
반면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을 꾸준히 웃돌고 있다. 올해 3분기의 경우 가공식품 73개 세부 품목 중 72.6%인 53개의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인 3.1%을 웃돈다.
드레싱이 28.9%로 가장 높고 ▷고추장(24.1%)▷치즈(19.8%)▷잼(18.8%)▷어묵(18.3%) 등 23개 품목은 10%를 넘었다. ▷아이스크림 13.0%▷커피 12.5%▷생수 10.0%▷라면 9.4%▷우유 9.4%▷빵 6.6% 등의 물가 상승률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보다 높았다.
외식은 39개 세부 품목 중 3개를 제외한 36개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피자가 11.8%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햄버거(9.1%)▷오리고기(외식)(7.7%)▷구내식당식사비(7.7%)▷김밥(7.4%)▷떡볶이(7.1%)▷라면(외식)(7.0%), 죽(외식)(6.9%) 등 순이었다.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먹거리 부담은 더 크다. 올해 3분기 소득하위 20%(1분위) 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91만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소득상위 20%(5분위)는 832만원으로 3.1% 늘었다.
3분기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은 1분위 가구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각각 10.5배, 9.0배였다. 이는 5분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 대비 각각 2.0배, 1.7배에 비하면 훨씬 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