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가 26일 정식으로 임명될 경우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탈당 예고와 김건희 여사의 주가 조작 의혹 관련 특별검사 도입 문제 등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5일 정치계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27일 탈당과 관련한 회견을 예고했다. 다음 날인 28일에는 김 여사 특검법 심의가 예고된 국회 본회의가 이어진다. 모두 보수 통합 등 내년 총선과 직결된 이슈들이다.
정치계 안팎에선 이들 이슈에 대해 한 장관이 어떻게 헤쳐 나가는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먼저 중도층과 수도권, 청년 표심 견인이 과제로 떠오른 내년 총선을 앞두고 한 지명자가 이 전 대표의 정치적 상징성과 가치와 함께 어떻게 대응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친윤 중심에선 이 전 대표에게 손을 내밀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한동훈 비대위' 출범으로 이슈가 된 만큼 혁신과 개혁 이미지를 확보했다는 취지다.
실제로 김병민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25일 MBC 라디오에서 '이준석 신당'과 관련해 "언론 주목을 크게 받기 어려울 것"이라며 "이번 주 비대위 인선 등으로 한동훈의 시간이 모든 뉴스를 빨아들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이준석 포용론이 나오기도 한다.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 지명자가 수도권 선거 상황을 너무 쉽게 보고 있는 것 같다"며 "이 전 대표를 만나는 시도라도 해야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28일 본회의에서 준비할 '김건희 특검법' 대응도 만만치 않다. 특별조사위원회 설치를 골자로 한 이 법안은 지난 6월 30일 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됐다. 일정대로라면 1월 하순 본회의에 상정되지만 민주당은 이 시기를 더 앞당기겠다는 계획이다.
여당 측에서는 반대표를 행사하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를 건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 지명자 또한 특검법에 대한 강경한 태도를 그동안 보여왔던 점을 고려하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대통령실 또한 김 여사 특별법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는 쪽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관섭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앞서 KBS에 출연해 "(특검법은) 총선을 겨냥해 흠집 내기를 위한 의도로 만든 법안이란 생각을 (대통령실은) 확고하게 갖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