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13일 발표한 'K-Citizen First' 프로젝트는 '재난·재해 발생 전'에 초점을 맞췄다. 과도할 정도의 예방을 통해 도민 생명을 보호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행정의 영역을 뛰어넘어 기업·대학 등과 협력도 강화한다.
도는 고령화 지수가 높은 경북은 지역 특성상 스마트폰 긴급재난문자 발송과 같은 기존 예·경보 시스템이 갖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마을 이장 등 주민을 중심 '마을순찰대'를 구성해 재난·재해 징후가 보이는 시점부터 즉시 대피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각 자치단체는 도내 5천727개 마을(里) 전담 공무원을 지정하고, 경찰·소방·주민과 합동으로 대피 유도·관리에 나선다.
대학·연구기관과 합동으로 경북의 재난·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위기 예보시스템도 구축한다. 시기별·장소별 재난·재해를 분석하는 '캘린더형 안전 플랜' 수립에는 도 위기관리센터, 대학·연구기관이 힘을 모은다. 또 민간 택배·네비게이션 제작 업체와 손잡고 도로파손·낙하물·블랙아이스·싱크홀과 같은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체제도 만든다.
산불이 매년 잇따르면서 이에 대응할 인력과 장비도 대거 보강한다. 2026년 9월까지 야간 산불 진화가 가능한 초대형 헬기 도입을 완료하고, 울릉을 제외한 21개 시·군에 산림 진화헬기 배치도 끝마칠 계획이다. 현재 봉화에 임시 청사를 사용 중인 119산불특수대응단은 2026년 연말까지 헬기장 격납고 등을 갖춘 울진 신청사로 이전한다.
대형 인명 피해 발생 위험이 높은 산사태 위험을 조기 차단하기 위한 산림안전대진단은 내년부터 도내 전 시·군에서 이뤄진다. 올해는 7월까지 영주·문경·예천·봉화 등 지난해 극한 호우 피해가 발생한 북부권 4개 시·군에서 전수·정밀 조사를 실시한다. 또 산사태 취약지역을 도내 총 6천개소로 확대해 '과도한 대응'을 실시하는 한편,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재난 예측정보시스템을 활용해 읍·면·동 단위까지 산사태 위험정보를 제공한다.
재난·재해 발생 이후 주민대피소 운영, 복구 과정도 개편한다. 주민 대피소엔 대피가 이뤄진 직후부터 전염병 등 주민 의료 관리가 이뤄질 수 있는 체제도 구축한다. 복구도 원상 회복 수준을 뛰어 넘어 항구 복구를 통해 재난·재해가 재현되지 않도록 한다.
또 이재민에게는 개별 생활이 가능한 호텔을 제공한다. 도는 지난해에도 예천 이재민에게 경북도립대 기숙사를 제공하는 등 이재민 생활 환경 개선에 만전을 기해왔다.
공직사회에선 재난·재해에 특화된 전문가를 육성한다. 10년 간 관련 부서에 근무하면 사무관(5급)으로 승진할 수 있도록 하고, 20년 근무 시 부이사관(3급) 승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스트트랙'을 도입해 전문성을 강화한다.
박성수 도 안전행정실장은 "경북의 재난 대응 원칙은 모든 도민을 지킬 수 있는 체계 구축"이라며 "기존 행정의 한계나 문제점은 과감히 뛰어넘고, 민간·대학·기업 등과 협업체계 구축하고, 행정의 전문성을 확보해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홍준표 "탄핵 결정도 안 났는데 이재명 띄우기 여론 조사 기승"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