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가 작년보다 줄어들면서 4년 만의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한국 영화는 관객 수, 점유율, 매출액이 늘면서 선전했다.
16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영화산업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영화관 누적 관객 수는 1억2천313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201만명) 감소했다.
연간 관객 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완화되면서 최근 5년간 회복세를 보여왔다. 2020년 5천952만명→2021년 6천53만명→2022년 1억1천281만명→2023년 1억2천514만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지난해 회복세가 꺾이면서 2024년 관객 수는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연평균 관객 수의 55.7%에 그쳤다.
지난해 관객 수가 2020년 이후 4년 만에 감소한 데에는 여름 성수기 히트작의 부재가 영향을 끼쳤다. 연초에는 '파묘'(1천191만명), '범죄도시 4'(1천150만명) 등 천만 영화 두 편이 나오면서 관객들을 극장에 모았고, 추석에는 '베테랑2'(753만명)이 흥행을 견인했다. 그러나 작년 8월 관객 수는 1천178만명으로 전년 같은 달(1천456만명)에 비해 300만 명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파일럿'(472만명)외에 선전한 작품도 부재했다.
관객 수뿐만 아니라 전체 매출도 줄었다. 지난해 매출액은 1조1천945억원으로 전년보다 5.3%(669억원) 줄어들면서 관객 수보다 감소 폭이 더 컸다. 대형 외화의 부재로 아이맥스처럼 상대적으로 티켓값이 비싼 특수상영이 줄어들었다는 게 영진위의 분석이다.
한편, 지난해 한국 영화 관객 수는 7천147만명으로 전년보다 17.6%(1천72만명) 증가했다. 전체 관객 수에 대한 한국 영화 점유율도 58%로 전년보다 9.5%포인트(p) 뛰었다. 누적 매출액은 6천910억원으로 전년보다 15.5%(925억원) 늘어났다. 작년 흥행작 상위 10위 안에도 한국 영화가 7편이나 차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