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를 경제 번영 수단으로 강조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물가 상승 가능성을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더힐 등 미국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관세 관련 발언이 전과는 결이 달라졌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아이들이 인형을 30개 갖는 대신 2개만 가지게 될 수 있고, 그 인형들이 더 비쌀 수 있다"고 말했다. 관세로 인한 소비자 물가 상승 가능성을 직간접적으로 인정한 셈이다.
이어 지난 4일 NBC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미국인들이 250개의 연필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5개면 충분하다"며 "우리는 필요하지 않은 물건들을 사기 위해 중국과의 무역적자에 돈을 낭비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산 저가 제품을 '불필요한 쓰레기'로 규정하며, 생활비 부담보다는 무역적자 축소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는 지난해 대선 당시 바이든 전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대응을 비판하며 '물가 안정'을 약속했던 공약과는 다소 배치되는 메시지로 읽힌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 역시 일제히 같은 기조의 발언을 내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지난 3월 뉴욕에서 열린 행사에서 "저렴한 물건을 많이 사는 것이 아메리칸드림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소비 절제' 메시지가 유권자에게 설득력을 가질지는 미지수다.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 참모를 지낸 마크 쇼트는 "억만장자인 트럼프가 국민에게 자녀 장난감을 줄이라고 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고, 바이든 정부에서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낸 재러드 번스타인은 "생활 수준을 낮추라는 주장이 대부분의 미국인에게 어떻게 들릴지 상상조차 어렵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기현 "김문수, 단일화 믿은 당원에 사과해야"…"의원 20명 창당? 100% 반대" [뉴스캐비닛]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등록 진행"
공수처, '李 파기환송' 조희대 대법원장 고발사건 배당
한덕수 전 총리, 국민의힘 전격 입당…"대한민국 기적 끝나선 안 돼"
김문수 "야밤에 정치 쿠데타…법적조치 즉시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