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업부·코트라, 847억원 규모 '관세 대응 바우처' 확대 지원

관세 등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수출하는 기업들의 불확실성과 함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관세 등 통상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수출하는 기업들의 불확실성과 함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미국 관세 정책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코트라)는 오는 20일 온라인 설명회를 열고 사업 개요와 신청 요건, 제출 서류 등을 상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번 바우처 사업 확대는 지난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따른 것이다. 추경에는 관세 대응 바우처 예산으로 847억원이 추가 편성됐으며, 이를 통해 약 2천개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추가 지원이 가능해졌다.

특히 미국의 품목관세 25% 부과로 피해를 입은 기업을 위해 패스트트랙을 별도로 마련했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해당 기업이 사업 신청 시 3일 이내 선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산업부와 코트라는 이번 추경 이전에도 본예산 93억원을 활용해 1차로 관세대응 바우처 지원 대상 기업 204개사를 선정했다. 이들 기업에는 외국 무역관을 통해 발굴한 현지 관세·법률 전문가의 역량을 활용해 수출 애로 해소를 지원하고 있다. 선정기업 중에는 자동차부품과 기계류 기업이 71개사(34.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기업이 제출한 바우처 활용 계획서에 따르면 현지의 전문적인 관세대응 컨설팅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장비 제조기업 A사는 바우처 전액을 관세 대응 전략 컨설팅에 활용할 계획이다. 자동차 부품기업 B사는 관세대응 바우처 1억2천만원의 절반 이상을 ▷현지 생산거점 확보와 관련한 법무·세무 리스크 검토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최소화 전략 ▷중국 선사 입항세 절감을 위한 물류비 전략 수립 등에 배정했다.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은 수출바우처 포털 내 '관세 대응 패키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신청 가능하다. 기업은 ▷피해분석 ▷피해대응 ▷생산거점 이전 ▷대체시장 발굴 등 카테고리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한 뒤 소요 비용을 정산하는 방식으로 지원받는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수시로 변하는 관세 정책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 애로가 커지고 있다"며 "확대된 관세대응 바우처 예산을 신속히 집행해 우리 기업이 관세로 인한 수출 어려움을 제때 해소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