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14개국에 25~40% 수준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통보한 '관세 서한'을 발송했다. 적용 시점은 당초 예고된 9일에서 8월 1일로 연기됐다. 이로써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국가들은 당장의 충격은 피했지만, 협상 시한이 임박한 상황에서 긴박하게 대응에 나섰다.
인도는 이번 서한 발송 대상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의 협상이 "거의 마무리 단계"라고 언급했다. 미국과 농산물 시장 개방을 둘러싼 이견 속에서도 인도는 지난달 말부터 워싱턴DC에서 장기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인도 측은 협상의 시한보다는 내용을 중시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방글라데시는 기존보다 낮아진 35%의 관세율을 통보받고 9일부터 본격 협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미국산 LNG, 밀, 항공기 등의 수입 확대와 무관세 적용을 제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태국은 36% 관세가 유지됐지만,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와 무역흑자 감축 계획을 제시하며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태국 정부는 대미 무역수지를 5년 내 70% 감축하고, 7~8년 내 균형을 맞추겠다는 새로운 목표를 미국에 전달했다. 이를 위해 미국산 LNG 장기 구매와 보잉 항공기 대량 구매 계획도 포함됐다.
인도네시아는 내달 1일까지 확보된 유예 기간 동안 34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 확대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이며, 밀·대두·에너지 등 주요 품목의 관세 인하 및 미국의 핵심 광물 분야 투자도 추진하고 있다.
반면, 말레이시아는 25%로 상향된 관세율을 통보받았음에도 협상 진전 소식이 없다. 라오스와 미얀마는 40%의 높은 관세율에도 협상 카드가 부족한 상황이며, 캄보디아는 기본 틀에 대한 합의만 이뤄진 상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브릭스(BRICS) 반미 성향 국가에 10%의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로 인해 중국·인도·인도네시아 등 회원국과 말레이시아·태국 등 파트너국들도 당혹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대응 전략 마련에 분주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