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비교정보를 접한 소비자 10명 중 9명 가량이 해당 정보가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9일 "제품 비교정보를 접한 후 해당 품목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7.1%가 '구매할 제품을 결정하는 과정에 영향을 끼쳤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86.9%보다 0.2%포인트(p) 높아진 수치다. 비교정보의 구매·선택 영향력은 2023년 86.4%에서 매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는 제습기 비교정보의 구매·선택 영향력이 93.8%로 가장 높았다. 정보 유형별로는 소비자들이 ▷품질·성능 비교 ▷사용 편의성 비교 ▷가격 비교 순으로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고물가 환경에 대응해 품질·성능이 우수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가성비 제품 정보를 확대하고, 전기차·에어컨 등 객관적 정보가 부족한 고가 소비재에 대한 비교정보 제공을 강화한 노력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소비자원이 제공하는 구매·선택 가이드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80.5%(805명)는 "정보가 잘 요약돼 해당 내용만 참고해도 제품을 구매·선택할 수 있다"고 답했다.
친환경 제품 구매 의향도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86.7%(867명)는 친환경 제품을 구입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 가운데 91.8%(796명)는 소비자원이 제공한 환경성 검증·평가정보가 제품 구매·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사용 환경조건의 시험평가와 가성비 우수제품 발굴을 확대하는 등 소비자 공감형 정보생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