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가 10일 "이재명 정부의 대출 규제 대책은 원인 진단 없는 마약성 진통제"라며 "외국인 '무풍지대'인 부동산 대책 더는 침묵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부대표는 이날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2019년 문재인 정부 시절 15억 초과 아파트 대출 금지라는 극약처방이 있었다"며 "결과는 모두가 기억한다. 2022년까지 집 값은 초급등했다. 저금리 상황에서 거래량만 줄었고 이 정도는 현금 부자들이 모두 흡수해 갔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번 대책도 시차만 있을 뿐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7월3일 발표한 주간 주택 동향 조사에 따르면 노원·도봉 등 6억 대출로 집을 살 수 있는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오히려 더 상승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또 이런 금융 규제는 한 번 쓰고 나면 거둬들이기 어렵다"며 "집값이 다시 오르면 결국 부동산 '세금 폭탄'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 부담은 중산층과 서민에게 전가된다"고 했다.
이어 "반면 올 상반기 외국인의 부동산 거래는 6천500건을 넘어섰다. 중국인 비중은 67%다. 서울에만 절반 가까이 몰려 있다"며 "내 집이 간절한 자국민엔 '규제 폭탄', 외국인에겐 '무풍지대'가 공정한가"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 원성이 임계점에 도달하고 있지만 이재명 정부는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며 "미국은 이미 중국인의 농지 매입을 안보 위협으로 간주해 군사기지 인근 토지 구매를 전면 차단하고 중국 자본이 산 땅엔 강제 매각 명령까지 내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일본 또한 중국인 '큰손'들이 도쿄 아파트를 통째로 사들여 임대료를 두 배로 올리고 연로한 세입자들이 강제로 퇴거당하자 여야 가릴 것 없이 중국인의 부동산 투기 규제에 나섰다"며 "중국인의 부동산 매매가 '국가 안보','국가 주권'의 문제로 번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민의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우리 국토가 외국인 투기에 잠식되지 않도록 이 불공정이 공정으로 바뀔 때까지 끝까지 외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의힘 정책위원회(정책위의장 김정재)는 최근 부동산, 채무 감면, 건강보험 등 공공제도 전반에서 내국인이 불이익을 받는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자국민 역차별 해소 릴레이 세미나'를 순차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