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시, 경북 첫 수소도시에 선정…"수소경제 육성 청신호"

국토부 수소도시 지원사업 선정돼 국비·지방비 총 416억 투입
포스코서 나오는 부생수소로 도심 내 주거난방·대중교통·충전소 등 활용
이와 연계해 수소연료전지 예타사업 추진, '수소특화단지 및 국제 공인 인증'도

경북 포항시 수소도시 조감도. 경북도 제공
경북 포항시 수소도시 조감도. 경북도 제공

포항시가 국토교통부 수소도시 지원 사업에 경북지역 최초로 선정됐다.

26일 경북도와 국토부에 따르면 정부 수소도시 지원사업 대상 지역에 ▷경북 포항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평택시 ▷충남 당진시 ▷충남 보령시 ▷전남 광양시 등 6개 지역이 선정됐다.

국토부는 앞서 2019년 수소시범도시로 울산시, 안산시, 전주시(완주군)를 지정해 국내 수소산업의 미래를 가늠해 왔다. 올해 선정된 지역들은 정식 수소도시로, 지역 내 수소를 적극 활용하는 미래형 도시 기반을 구축한다.

포항시는 포스코를 기반으로 하고 산업·주거 기반이 크다 보니 수소 생산부터 활용에 이르는 전망이 밝다고 판단돼 경북 최초로 수소도시에 선정됐다. 이에 따라 총 사업비 416억원(국비 200억원, 지방비 200억원, 민자 16억원) 중 내년도 국비 10억원을 확보했다.

포항시는 포스코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를 도심 내 주거와 교통 등 생활권 전 분야에 적용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포항제철소 부생수소를 블루밸리산단까지 운반하는 15.4㎞ 수소배관 설치 ▷충전소 3곳 구축 ▷수소버스 4대 운영 ▷LH 행복주택 408가구, 포항TP 테크노빌 60가구, 다원복합센터 등에 주거용 연료전지 940㎾ 보급 등을 추진한다.

경북도는 이와 별개로 수소 연료전지 산업을 집적화하고자 지난해 8월부터 블루밸리산단 내 1천890억원 규모 기반 구축사업을 벌인다는 내용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하면 국내 연료전지 부품 소재 중소기업을 경북에 모을 수 있고, 포스텍과 영남대 등 지역 대학과 R&D(연구개발)를 연계해 인재도 대거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경북도는 보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연말쯤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경북도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경제·산업 등 다양한 분야를 미래 잠재적 핵심 산업이라 보고 관련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발굴·지원할 방침이다.

지난달 1일에는 경북도청 조직인 동해안전략산업국 에너지산업과에 수소경제팀을 신설하고서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과 산업부 '수소경제 이행 계획'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기업들이 개발한 제품의 성능과 안정성 검증을 도와 산업화 기술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내년 준공을 목표로 하는 포항 테크노파크 내 수소연료전지 인증센터에 220억원을 들여 연료전지 테스트베드를 만들었고, 이를 활용한 핵심부품 국산화도 지원하고 있다.

경북도는 내년 상반기 '수소연료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받고자 기획 용역을 거쳐 산업부에 특화단지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수소트램 구상 기본 계획과 경북도 수소산업 육성 기본 계획 등 관련 연구용역도 진행해 국비사업을 발굴하고 중앙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김남일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경북도는 원전을 이용한 수소 실증 산업단지 조성, 풍력 태양광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 연료전지 발전 및 검·인증을 통해 연료전지 분야 전문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국내는 물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을 키우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