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대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있다" 최초 입증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

경북대 전경
경북대 전경

경북대학교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 확장이 혈액 인자인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4일 밝혔다.

혈액 속 지질인 S1P는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산군보다 낮았고, 수치가 낮은 만큼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며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할 경우,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는 데다, 후각 행동이 개선되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으로 증명한 사례는 이번 경북대 연구팀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