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10명 중 8명이 '성 소수자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해 눈길을 끈다.
29일 총리실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학국여성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성교육 수요조사' 자료를 보면 2018년 11월 6일부터 12월 5일까지 중학교 1~3학년 4천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학교 성교육에서 성 소수자 관련 정보나 교육을 받아본 적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1.1%만이 '그렇다'고 대답했다.
향후 학교에서 성 소수자 관련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7.9%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과(70.1%)보다 여학생(86.2%)이, 2학년(75.3%)과 3학년(77.4%)보다는 1학년(81.2%)이 필요성을 더 크게 느꼈다.
본인의 성 정체성이나 성적 지향을 고민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각각 26.1%(성 정체성)와 30.7%(성적지향)였다. 특히 남학생(성 정체성 20.8%, 성적 지향 24.9%)보다는 여학생(성 정체성 31.7%, 성적 지향 37.0%)이 이런 고민을 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성 소수자라는 생각이 들 경우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복수응답)에 대한 질문에는 '그런 생각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는 응답이 28.9%로 1위였다.
다만, 이런 응답은 성별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나타냈는데 남학생의 경우 ▶ 그런 생각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35.4%) ▶ 숨긴다(24.0%) ▶ 부모님에게 의논한다(21.1%) 순이었다. 이에 비해 여학생은 ▶ 부모님에게 의논한다(32.3%) ▶ 친한 친구에게 이야기한다(25.0%) ▶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알아본다(24.9%) 순이었다.
연구진은 "자신이 성 소수자라는 생각을 부정하거나 숨기겠다고 답한 남학생들과 달리 여학생들은 부모님이나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교육부는 새 교육과정(2022 개정 교육과정)을 행정예고하면서 기존에 정책연구진이 시안에 넣었던 '성 소수자'와 '성평등'이라는 단어를 없앴다.
이날 행정예고가 끝나고 새 교육과정 최종안이 조만간 확정될 예정이어서 같은 논쟁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캄보디아 납치' 인도는 1천명 구출, 한국은 뒷북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