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 넷플릭스의 한국 투자를 두고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파격적이라고 홍보하는 대통령실과는 달리 콘텐츠 업계는 이미 진행하는 투자 규모와 유사하다는 입장이다.
26일 OTT 등 국내 콘텐츠 업계는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에 향후 4년간 한국 콘텐츠에 3조3천억원을 투자하겠다는 발표에 "정체기에 놓인 넷플릭스가 돈 벌 방법은 아시아 등의 신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이 나서지 않아도 가성비가 높고 수익성이 증명된 한국 콘텐츠의 투자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고 평가했다.
넷플릭스가 제시한 4년 투자액 3조3천억원을 단순 계산하면 연평균 8천200억원으로 산정된다. 이는 증권가에서 추산하는 연간 투자 수준과 유사하다. 증권가는 한해 투자 규모를 8천억원에서 1조원으로 추정한다. 이미 넷플릭스는 지난해 8천억 원을 투자했는데 4년을 곱하면 3조 2천억 원으로 계산된다.
또 넷플릭스는 한국 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면서 투자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기에 제작 편수와 규모를 늘리는 것은 당연한 수순으로 분석된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작품에 비해 한국 작품에 들어가는 제작비는 10~30%에 불과하지만 2022년 기준 세계 회원의 60%가 1편 이상 한국 작품을 시청할 만큼 수익성은 높다. 넷플릭스가 제작비로 253억원을 들인 '오징어 게임'은 40배 이상인 8억9천110만 달러(약 1조원)의 수익을 냈다.
업계에서는 넷플릭스가 자금력과 글로벌 배급망으로 창작자를 발굴·투자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한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IP를 독점해 국내 제작사가 추가 수익을 분배받지 못하는 불공정 계약 방식과 한국 기업이 깔아놓은 인터넷 망을 사용하면서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지 않는 문제가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26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저작권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며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라는 것처럼 넷플릭스가 불평등하게 한국에서 돈을 엄청 벌어가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정 최고위원은 "넷플릭스는 한국 콘텐츠 제작자를 이용해서 마치 넷플릭스 하청기지로 전락했다는 게 한국 콘텐츠 관련자들의 피눈물이고 이것이 불편한 진실"이라며 "OTT 시장에서 한국은 부동의 콘텐츠 강국이고, 우리가 투자유치를 안 해도 넷플릭스가 한국에서 돈을 벌려면 투자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