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가 3천500만 명에 이르는 증권사 모바일앱에 대한 민원이 급증해 금융 사고 우려가 크다.
4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무소속, 비례)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16개 증권사 중 모바일앱을 제공하는 15개 증권사의 가입자는 2017년 107만 명에서 지난해 10월 기준 3천489만여 명(중복 포함)으로 폭증했다.
모바일앱 이용 관련 민원도 같은 기간 86건에서 812년으로 9.4배 늘었다. 2021년에는 관련 민원이 1천766건에 달했다.
2017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모바일앱 관련 민원이 가장 많이 제기된 증권사는 SK증권으로 1천332건이었다. 이어 대신증권(1천4건), KB증권(369건), 미래에셋증권(263건), 한국투자증권(135건) 순이었다.
모바일앱 주식거래가 늘어 투자액과 거래액도 급증한 만큼 민원 증가는 사고 위험을 경고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국내 15개 증권사 모바일앱 투자액은 2017년 368조원에서 지난해 10월 말 1천182조원, 거래액은 같은 기간 734조원에서 2천340조원으로 늘었다.
국내 증권사들은 모바일앱 이용 관련 민원 건수 급증을 두고 공모주 상장일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접속량이 폭주하며 민원이 다수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2017년~2021년 국내 증권사에서 발생한 홈트레이딩시스템(HTS), MTS 서비스 장애는 총 1천136회로 피해액은 268억원이다.
하지만 증권사 보상액은 피해액의 81% 수준에 그쳐 금융당국의 관리, 증권사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증권사 HTS와 MTS는 개인이 PC나 휴대전화 등을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보편적인 주식 거래 방법이다.
양정숙 의원은 "공모주 상장일 접속 폭주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문제"라며 "증권사들이 이용자 편의와 피해 예방을 위해 모바일앱 서비스 품질 향상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했다.
또 "코로나19 사태 이후 각 분야가 비대면 중심으로 변하고 있어 우리 국민의 모바일앱 이용 증가도 예상되는 만큼 예기치 못한 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더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