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사교육 강사들의 고수입은 정당한 영리 활동'이라는 자신의 발언에 "초과이익을 취하는 건 범죄이고 사회악"이라고 지적한 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을 겨냥해 "초과이익이 범죄라는 정책의 방향성을 수립하려면 정당은 책임 있게 나서라"며 맞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시한 '공교육 교육과정 내 수능 출제' 방침이 '사교육업계 카르텔' 및 '일타 강사 고소득' 논란으로까지 번진 분위기다.
이 전 대표는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앞으로 이 (문제를) 실제로 다루겠다고 한다면 '변호사의 수임료는 얼마가 적정한가'와 같은 문제도 다뤄야 할 거다"고 운을 뗐다.
이 전 대표는 "시장에 진입하고 나가는 것이 자유로운 인터넷 강의 시장은 완전경쟁시장에 가깝기 때문에 박리다매형 이익추구가 오히려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며 "플랫폼이 보편화 된 세상에서는 경쟁을 뚫어낸 상품이 떼돈을 벌어내기도 하는 거다"라고 짚었다.

이철규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경쟁이라는 게 선의의 경쟁, 법 테두리 내의 경쟁이어야 한다"라며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를 주면서 그 피해를 바탕으로 해서 자신의 이익을 취하는 것, 초과이익을 취하는 것은 범죄이다. 사회악이다. 이걸 비호하는 사람 생각이 뭔지"라고 말한 바 있다.
이 사무총장은 "오로지 누군가를 비판하고 정책을 문제 제기하기 위해서 트집 잡는 말에 불과한 것이지, 어찌 그것이 비판 대상이 안 된다고 생각하느냐"라며 "그런 얘기를 한다면 매점매석하는 행위도 비판을 받아서는 안 된다. 그 논리라면 매점매석 행위를 왜 비판하느냐, 물건 내가 사서 파는데 그게 왜 제약이 되느냐는 것과 그 특정인이 한 발언이 무엇이 차이가 있나? 똑같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사무총장이 언급한 '특정인'이란 전날 "사교육업계 강사들이 고소득자라고 하더라도 법의 테두리 내에서 영리 활동을 하고 있을 뿐이다", "그들을 막무가내 악마화하는 건 논리도 빈약하고 총선 앞 전략적으로 좋지 않은 행동"이라고 말한 이준석 전 대표를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이 사무총장의 발언에 대해 이 전 대표는 "누군가가 카카오톡 이모티콘 샵에서 3천원짜리 이모티콘을 팔아 유행해서 대박이 나 100억원 벌면 이것도 초과이익이냐"라고 다시 받아쳤다.
그는 "악마화 하려고 자꾸 카르텔이니 그런 소리를 하는데 정치권에서 인터넷 강의 때려잡아서 예전처럼 동네 보습학원으로 학생이 가도록 하는 건 그러면 '동네 보습학원 카르텔'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대표는 또 사교육비 부담이 수능 영역에서 많이 줄었다고도 했다. 그는 "이미 인터넷 강의로 인해서 사교육비 부담은 수능의 영역에서는 많이 줄었고, 인강은 패스 끊어서 들으면 여의도 국회의원 어르신들 하루 회식 값도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교육 통계를 보면 '가장 사교육 부담이 크다'라고 하는 지점은 '보육'에 가까운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이다. 집에서 애를 놀릴 수 없으니 이런저런 학원 보내는 상황을 개선할 생각을 하는 게 정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단편적인 쉴드를 위해 모르는 거 자꾸 이야기 하지 마시라"라며 "3자적 관점으로 예전에 야당시절에 문재인 정부 타박하듯이 카르텔 소리 하고 있으면 정권과 여당이 무능을 의심받습니다. 그리고 여당의 무능은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심판의 대상이 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
김현지, 국감 첫날 폰 2번 바꿨다…李 의혹때마다 교체 [영상]
한동훈 "尹 돈 필요하면 뇌물받지 왜 마약사업?…백해룡 망상, 李대통령이 이용"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