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차전지 초격차 기술혁신 8개大 "포항으로 모여"

포스텍·한동대·고려대·강원대·경북대·부경대 등 8개 대학 2차전지 R&D 업무 협약

포스텍, 고려대, 강원대, 경북대, 부경대, 영남대, 위덕대, 한동대 등 8개 대학 관계자들이 5일 포항시청에서 2차전지 R&D 협력 생태계 구축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스텍, 고려대, 강원대, 경북대, 부경대, 영남대, 위덕대, 한동대 등 8개 대학 관계자들이 5일 포항시청에서 2차전지 R&D 협력 생태계 구축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국의 2차전지 관련 대학들이 경북 포항으로 모이고 있다.

5일 포항시청에서는 포스텍·고려대·강원대·경북대·부경대·영남대·위덕대·한동대 등 8개 대학 기업협업센터와 '2차전지 R&D 협력 생태계 구축' 업무 협약이 체결됐다.

8개 대학 모두 2차전지 관련 전공을 개설하거나 산업 연계 기술연구를 수행하는 곳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남일 포항시 부시장을 비롯해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박규영 포스텍 첨단소재 기업협업센터 교수, 이재륭 고려대 소부장혁신기업협업센터 부센터장, 봉한종 강원대 차세대에너지기업협업센터 교수, 이강용 경북대 ICC협업센터장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포항시와 8개 대학은 2차전지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 ▷인력 양성 ▷공동 프로젝트 발굴 및 수행 ▷인적·물적·기술 교류에 나서기로 했다.

포항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포항이 글로벌 기술혁신 초격차 선도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포항시는 2차전지 종합관리센터, 방사광가속기연구소,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텍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포항테크노파크,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나노융합기술원, 포스코 미래기술연구원 등을 통해 핵심 소재 양산과 연구개발이 함께 이뤄지는 국내 유일의 도시이다.

김남일 포항시 부시장은 "2차전지 산업은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경제 안보의 핵심으로, 초격차 기술력·기업지원·우수인력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K-배터리 기술혁신을 이끌어갈 우수한 대학들과 긴밀히 협력해 미래 대한민국 2차전지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기술혁신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