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지역 대학 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대구 RISE센터'가 대구정책연구원에 둥지를 틀고 운영을 본격화한다.
교육부는 지난달 25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대구 전담 기관으로 대구정책연구원을 지정했고, 대구정책연구원은 지난 4일 보직 인사를 통해 김광석(53) 연구위원을 대구 RISE센터장으로 선임했다.
교육부는 지난 3월 대구, 경북을 포함한 7개 시·도를 RISE 시범지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교육부는 내년까지 시범지역과 협업해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오는 2025년 전국에 정식 도입할 계획이다.
김광석 센터장은 "여러 지원을 통해 학생들이 지역에 정착할 여건을 만들고 다시 입학생을 충원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가 하나의 '허브'가 돼 전략적으로 움직인다면 자원을 적재적소에 투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생이 줄어도 대학이 살려면 특성화가 필요하다.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대학과 산업을 연결하고 고도화하려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RISE는 현 정부가 '지방시대'를 위한 국정과제로 도입하는 교육지원 체계다. 정부의 관련 예산과 정책 권한을 지자체로 넘겨 '지역 주도 대학지원 모델'을 만드는 게 골자다. 인재 양성부터 취·창업, 정주까지 순환 생태계를 형성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이끈다는 목표다.
사업 관리를 전담하는 RISE센터는 우선 저마다 지역 발전 전략과 연계한 '지역대학 지원 5개년 라이즈계획(2025~2029)'을 수립해 교육부와 협약을 맺기로 했다.
대구 RISE센터도 시도별 라이즈계획을 확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상반기까지 계획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UAM(도심항공교통), 반도체, 로봇, 헬스케어,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등 '대구 5대 신산업'과 연계하거나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하는 등 지역 실정에 맞는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다.
김광석 센터장은 "대구의 경우 우수하지만 외지로 빠져나가는 학생들이 많아 기업들이 인력난을 겪고 있다. 로봇 등 신산업 분야에서 인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맞는 학과 등 공급 여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대학이 지역민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도록 '찾아가는 대학'을 운영하는 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