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수소환원제철(옛 명칭 5투기장) 건립에 "포항시가 적극 나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시민단체로부터 나왔다. 환경·시민단체 등은 지금껏 수소환원제철 건립에 반대를 해 와 이례적인 것으로 분위기가 확산할지 주목된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포항시민연대'와 '탄소중립실천 포항시민연대'는 29일 포항시청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2050탄소중립'을 선언한 포스코의 친환경 미래소재 전환과 친환경 사업을 위해 포항시가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해 태풍 '힌남노'처럼 세계 곳곳의 이상기후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볼 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이 포스코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다"면서 "수소환원제철은 '탄소제로 포스코'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포스코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탄소세 등 국제적 제약에 대한 대비를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 포항과 학국의 경제를 이끌어온 철강산업을 일몰시킬 생각이 아니라면 수소환원제철에 토를 단다는 것은 무지의 소산"이라고 비판했다.
수소환원제철은 기존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활용해 용광로를 운영하는 사업이다. 부산물로 대기오염물질가 아니라 물이 나오는 등 탄소중립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기술로 여겨진다.
다만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을 위한 용지 확보가 문제점으로 거론돼 왔다.
부족한 용지 탓에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동쪽 앞바다 132만2천300여㎡를 매립해 수소환원제철소를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환경단체 등의 반발에 부딪친 상황이다. 지난 6월 수소환원제철소 용지 확보를 위한 합동설명회가 진행됐으나 환경단체와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때문에 이번 시민단체 측의 찬성 의견에 대해서 포스코의 주민설득 및 사업설명 등이 조금씩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유성찬(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부위원장) 지속가능사회연구소장은 "탄소중립경제는 국가 생존의 필수 과제가 됐다. '탄소중립경제 추진과 수소환원제철소 건립 지원협력에 관한 법률' 제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김상욱 "尹 탄핵 기각되면 죽을 때까지 단식"
[단독] 경주에 근무했던 일부 기관장들 경주신라CC에서 부킹·그린피 '특혜 라운딩'
이재명, '선거법 2심' 재판부에 또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즉시 업무 복귀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