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그냥 쉬어요"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니트족 8만명···제조업 취업자 감소폭도 확대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집에서 시간을 보낸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집에서 시간을 보낸 '니트족'(교육과 직업훈련을 받지 않은 무직자)이 8만명에 달했다. 22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1만8천명이었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대학에 걸린 취업 관련 현수막. 연합뉴스

무직 상태이면서 취업을 위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는 '니트족'이 8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의 근간이 되는 제조업 고용 부진도 심화되고 있다.

22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1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답한 청년은 8만명으로 전체 36.7%를 차지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보다 더 높은 수치로,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은 직업 훈련이나 취업시험 준비, 구직활동, 육아나 가사 등을 하지 않고 시간을 보낸 셈이다.

니트족 비율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3.9%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7.3%로 상승했다. 또 1년 이상∼2년 미만 19.2%, 2년 이상∼3년 미만 21.1%로 줄어든 뒤 3년 이상일 때 36.7%로 대폭 높아졌다. 학교를 졸업한 이후 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업을 포기하는 비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니트족 비율은 매년 상승하는 추세다.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인 2018년 24%에서 2019년 24.7%, 2020년 25.5%로 20%대에 머물렀으나 2021년 34.7%로 대폭 상승한 뒤 지난해 37.4%로 뛰었다.

이와 별개로 지난 3분기 제조업 취업자 수는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 기준 월평균 제조업 취업자는 446만6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에 비해 5만8천명 감소했다. 2020년 4분기(-10만7천명) 이후 가장 감소폭이 컸다.

올해 들어 월 기준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4월에 감소폭(9만7천명)이 가장 컸다. 다만 8·9월에도 7만명 내외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분기 기준으로는 3분기가 가장 부진했다.

팬데믹 기간 부진했던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3분기 21만4천명, 4분기 12만9천명 늘어나면서 일시적인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올해 1분기 감소세로 돌아섰고 감소 폭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청년 니트족 비율 변화 추이. 연합뉴스
청년 니트족 비율 변화 추이.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