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부터 최근까지 울릉도 연안 어류 종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131종 중 열대 및 아열대성 어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문헌이나 기록이 있는 종을 합치면 울릉도 연안 어류는 지난달 기준 총 174종으로 작년보다 20종 늘었다.
이번 수중조사에서 직접 관찰된 131종 가운데 열대성 어류와 아열대성 어류는 각각 49종과 27종으로 전체 58.5%를 차지했다.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온대성 어류(48종·36.9%)의 1.5배에 달했다.
또한 울릉도 연안 일부 조사 지점에서 파랑돔이 100마리 이상 관찰돼 기존보다 10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원관 관계자는 "재작년과 작년엔 파랑돔 무리 규모가 50마리 남짓이었는데 올해는 최대 500마리 무리가 관찰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파랑돔은 다 자라도 10㎝ 정도에 불과한 작은 물고기로 수심 20m 내외 바위가 많은 곳에서 무리 지어 산다.
서식 수온은 16∼31도로, 원래는 수온이 따뜻하게 유지되는 제주 해역에 주로 서식했으나 현재는 울릉도와 독도 해역까지 서식지가 넓어졌다. 파랑돔은 올해 4월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선정됐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는 제주에서 '다금바리'로 불리는 자바리와 연무자리돔, 흰꼬리노랑자리돔, 검은줄꼬리돔, 검은줄촉수, 큰점촉수 등 아열대성 어류가 대거 새로 발견되기도 했다. 열대·아열대성 어류는 용치놀래기와 놀래기 등이 주로 관찰됐다.
울릉도 해양생태계 변화 주원인은 해수 온도 상승이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8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은 26도로, 위성을 이용한 표층수온 관측을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높았다. 이 기간 동해 표층 수온은 25.8도로, 평년치보다 2도 이상 높았다.
연구진은 해수 온도 상승에 따라 열대·아열대성 어류의 분포가 동해 연안으로 확산할 것으로 예상하고, 독도와 동해 중부 연안 해역까지 조사 지역을 확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관장은 "3년에 걸친 수중조사를 통해 울릉도 어류의 종 다양성에 대한 종합적인 현장 자료를 수집했다"며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한반도 연안어류의 종 다양성 변동을 추적하기 위해 장기적인 관측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이재명, 이재용 만나 "기업 잘 돼야 나라 잘 돼…경제 성장 견인차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