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의 사자성어 '견리망의'…"사회 지도층 의로움 실천해야"

교수신문, 전국 대학교수 1천315명 설문조사
대통령 친인척, 정치인 이익 앞에 떳떳하지 못해
2·3위는 적반하장과 남우충수…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가 쓴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가 쓴 '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견리망의'. 교수신문 제공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는다'라는 뜻의 사자성어인 '견리망의'(見利忘義)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꼽혔다.

10일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1천315명을 대상으로 올해의 사자성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30.1%(396표)가 '견리망의'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교수들은 올해 대통령의 친인척과 정치인이 이익 앞에 떳떳하지 못하고 고위공직자의 개인 투자나 자녀 학교 폭력 대응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해당 사자성어를 꼽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사회 지도층이 공동체의 의로움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중어중문학과)는 "우리나라 정치인은 바르게 이끌기보다 자신이 속한 편의 이익을 더 생각하는 것 같다"며 "출세와 권력이라는 이익을 얻고자 자기편에 이로운 방향으로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한 경우로 의심되는 사례가 적잖이 거론된다"고 말했다.

올해의 사자성어 2위와 3위에는 '적반하장'과 '남우충수'가 각각 25.5%(335표), 24.6%(323표)를 얻었다.

적반하장은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 남우충수는 '피리를 불 줄도 모르면서 함부로 피를 부는 악사들의 틈에 끼어 인원수를 채운다'는 뜻이다.

이승환 고려대 명예교수(동양철학)는 "국제외교 무대에서 비속어와 막말을 해놓고 기자 탓과 언론 탓(을 하고), 무능한 국정운영의 책임은 전 정부 탓(을 하고), 언론자유는 탄압하면서 자유를 외쳐대는 기만을 반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