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군 장병 급식, 내년부터 뷔페식으로 바뀐다…특식 제공도 확대

조리는 민간 전문 업체가 맡을 예정

육군훈련소 민간위탁 병영식당. 연합뉴스
육군훈련소 민간위탁 병영식당. 연합뉴스

군 장병 급식을 배식형 급식에서 10개 이상 메뉴를 취향대로 선택할 수 있는 뷔페형 급식으로 바꾸는 방안이 추진된다. 한 끼 1만3000원 수준의 특식도 매달 제공된다.

국방부는 뷔페형 급식을 시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장병 특식 제공을 확대하는 내용 등이 담긴 장병 복무 여건 개선 방안을 17일 공개했다.

군 급식은 현재 밥과 국, 반찬 등 5개 메뉴를 제공하는 배식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내년에는 치킨, 돈가스, 햄버거, 라면 등을 포함해 10개 이상의 메뉴가 나오는 뷔페형 급식이 전국 13개 부대, 1만7000여 명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제공된다.

조리는 민간 전문 업체가 맡을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재 조리병들이 만든 급식은 만족도가 70점 정도"라며 "뷔페형으로 바꾸면 90점을 훨씬 상향하는 만족도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뷔페형 급식을 도입한다고 해도 비용은 하루 세끼 총 1만3000원인 현재 수준을 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밝혔다.

조리병이 조리할 때는 모든 장병이 모든 반찬을 먹을 것을 전제하고 미리 음식을 만들어놓지만, 민간 업체에 맡기면 배식 과정을 보면서 음식량을 조절해 공급할 수 있다는 것.

오히려 음식물 쓰레기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조리되지 않고 남은 식사재는 그대로 보관해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부대 인근 지역 업체를 통해 한 끼 1만3000원 수준의 특식을 제공하는 '지역 상생 장병 특식'은 내년부터 연 12회 전면 시행된다.

장기적으로 조리병의 수는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조리병은 아주 예외적으로 존속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조리를 전문으로 하는 인력으로 대체돼야 한다"며 "같은 가격의 식자재여도 조리 전문 인력이 담당하는 것은 맛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