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스In] 보수 vs 진보 갈등 가장 심각…'성장'이 '분배'보다 중요

◆행정연구원 사회실태통합조사…19세 이상 8천여명 조사
◆10년간 가장 먼저 이뤄야 할 국가 목표 '고도의 경제 성장'
◆국민 절반 가까이 '중도', 보수가 진보보다 다소 많아

[그래픽] 가구 소득별 행복도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19일 한국행정연구원이 공개한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더 행복하고, 자신의 사회적 지위 수준이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 가구 소득별 행복도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19일 한국행정연구원이 공개한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더 행복하고, 자신의 사회적 지위 수준이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책연구원인 한국행정연구원이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지난 19일 공개했다. 사회통합실태조사는 우리 사회의 통합 수준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이 매년 실시하는 조사다.

2013년부터 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작년 9∼10월 전국 19세 이상 8천221명을 대상으로 면접 등을 통해 조사했다.

사회통합실태조사는 구체적으로 ▷우리 사회의 통합 수준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 및 태도 등 변화 추이 파악 ▷국제사회 가치관 조사 결과와 비교해 정책적 시사점 제공 ▷국민들이 체감하는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을 사회 영역별로 파악 ▷사회 갈등을 최소화하고 국민 대통합에 기여할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조사 결과 향후 10년간 가장 먼저 이뤄야 할 국가 목표로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꼽았고, '분배'보다는 '성장'을 훨씬 중요시했다. 국민들이 경제성장의 중요성을 몸소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 보수 대 진보 간 이념 갈등이 더 심각해진다고 파악했다. 빈부 격차 등 여타 갈등은 줄어드는 데 비해 이념 갈등이 더 심화됨에 따라 사회적 각성도 필요했다. 다만 스스로 중도라고 생각하는 국민이 절반 가까이 차지해 이념 갈등의 극단화를 피할 수 있는 여지도 확인했다.

◆이념 성향은 '중도적'이 다수

우리 국민의 이념 성향은 '중도적'이 다수를 차지했다. 중도적 46.7%, 보수적 29.9%, 진보적 23.4% 순이었다. 이는 전년에 비해 중도적 성향이 2.0%p 감소했고, 보수적은 1.7%p 증가했다. 보수적 성향이 진보적 성향보다 높은 비율이 3년째 유지됐다.

이념 성향이 성별, 연령별, 가구소득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50.1%)이 남성(43.3%)에 비해 중도적이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보수적이라고 응답했다. '가난하면 진보, 부자면 보수'라는 통상적인 생각과는 다른 결과다.

사회단체 참여는 대체로 사적 참여에 치중됐다. 동창회·향우회나 동호회, 종교단체 등 사적 참여 단체는 다른 사회활동에 비해 활동 비율이 높았다. 동창회·향우회 참여 정도는 42.0%로 가장 활발히 참여하는 사회단체였다. 동호회와 종교단체는 각각 23.5%, 16.8%로 다른 사회단체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정당이나 시민단체, 사회적 경제조직 등 공적 단체 참여는 미미했다. 정당 2.1%, 시민단체 3.2%, 사회적 경제조직 3.4%로 참여율이 낮았다.

연령별로도 달랐다. 동창회·향우회 참여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였고, 동호회는 19~29세가 가장 활발히 참여했다. 종교단체와 지역사회 모임은 고연령이 많이 참여했다.

우리 국민의 정치참여 활동 수준은 큰 변화가 없었다. 정치·사회 문제에 대해 '주변인과 대화'가 65.8%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 서명운동 참여 10.8%, 블로그 등 온라인 의견 개진 10.2%, 불매운동 참여 9.8% 등으로 조사됐다.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정치 현안에 대한 지식은 전년에 비해 다소 감소했다. 자신과 타인의 정치 현안에 대한 지식의 충분성 정도가 5점 만점에 평균 각각 3.0점과 3.2점으로 2022년(각 3.1점, 3.3점)에 비해 하락했다.

우리 국민의 정치에 대한 관심은 4점 만점에 평균 2.4점 수준이었다.

우리 국민들은 국가가 이뤄야 할 목표는 '고도의 경제 성장'라고 답했다. 사진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비지트 베너지(Abhijit Banerjee)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지난해 12월 경주 라한셀렉트 호텔에서 열린 2023 지방주도 경제성장 국제 컨퍼런스에서 지방주도 경제성장과 관련한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우리 국민들은 국가가 이뤄야 할 목표는 '고도의 경제 성장'라고 답했다. 사진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비지트 베너지(Abhijit Banerjee)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지난해 12월 경주 라한셀렉트 호텔에서 열린 2023 지방주도 경제성장 국제 컨퍼런스에서 지방주도 경제성장과 관련한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국가가 이뤄야 할 목표는 '고도성장'

국가가 추구해야 할 가치가 '성장'이라는 답변이 최근 3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2021년에는 '분배' 37.4%, '모두 중요하다' 35.9%, '성장' 26.7%였다. 하지만 2022년 '모두 중요하다'가 46.9%로 치솟고, 성장이 30.2%, 분배가 23%로 순위가 뒤바뀌었다.

2023년에는 '모두 중요하다'가 41.6%, 성장이 39.7%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분배는 18.7%로 차이가 컸다.

향후 10년간 가장 먼저 이뤄야 할 국가 목표로는 '고도의 경제성장'이 꼽혔다. 경제성장은 지난 11년간 가장 중요한 국가 목표였다. 2023년에는 39.5%를 기록했다. 이어 국방강화 29.5%, 환경 보호 16.4%, 직장·공동체 참여 및 권한 증대 14.5% 순이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은 4점 만점에 3.1점으로, 2013년 조사가 시작된 후 최근 4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정치·경제 상황 만족도는 각각 4.4점, 4.6점으로 약간 낮은 수준으로 2022년보다 각 0.1점씩 하락했다. 정치 상황 만족도는 19~29세(4.6점)에서 다른 연령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소득 높을수록 행복감 높아

우리 국민의 주관적 행복감은 10점 만점에서 평균 6.7점으로 조사됐다. 3년(2021∼2023년)째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가운 것은 부정적 정서(걱정, 우울)가 최근 3년 동안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10점 만점에 걱정 3.4점, 우울 2.8점으로 2022년 각각 3.6점, 3.0점에서 하락했다.

행복감은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월 가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일 경우 행복감은 6.1점이었으나, 500만∼600만원은 6.9점, 600만원 이상은 6.8점으로 차이가 났다.

이런 경향은 2021년, 2022년에도 비슷했다. 다만 2023년은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가 0.8점으로, 2022년 0.6점 대비 소폭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9∼29세, 30대, 40대는 6.8점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60세 이상은 6.5점으로 약간 떨어졌다.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또한 가구 소득의 영향을 받았다. 월 가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점수는 4.8점이었으나, 600만원 이상일 경우 5.7점으로 1점 가까이 높았다.

남성(5.6점)보다 여성(5.5점)의 사회적 지위 인식 수준이 약간 낮은 현상이 3년째 유지됐다. 경제활동이 활발한 40·50대의 사회적 지위 인식 수준은 5.7점으로 높은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5.3점으로 하락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와 정부 부처 합동 자살 예방 정책 제언 브리핑에 참석해 자살 예방 통합 번호 마련과 관련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위와 정부 부처 합동 자살 예방 정책 제언 브리핑에 참석해 자살 예방 통합 번호 마련과 관련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보수와 진보 간 갈등 가장 심각

우리 국민은 사회 갈등 중 보수와 진보 간 이념 갈등이 가장 심각하다고 판단했다. 보수와 진보 간 갈등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3.3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사회 갈등 유형과 달리 전년(3.2점)에 비해 증가했다.

이어 빈곤층과 중·상층 갈등 2.9점, 근로자와 고용주 갈등 2.8점, 개발과 환경보존 간 갈등 2.7점 순이었다. 보수와 진보 간 갈등을 제외하면 해마다 감소했다.

사회 갈등의 원인으로 개인·집단 간 상호이해 부족과 빈부 격차가 각각 24.7%, 2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해 교육계와 기업이 5점 만점에 각각 3.1점과 3.0점으로 노력한다고 평가했다. 반면 국회의 사회 갈등을 위한 노력은 2.5점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다.

사회 갈등 해소 주체로 정부 32.2%, 국회 20.6%, 언론 1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은 정부와 국회, 언론이 사회 통합을 위해 중심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소수자를 배제하는 인식이 여전히 높았다. 특히 성적 소수자에 대해 응답자 절반 이상인 52.3%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72.1%를 기록한 전과자 다음으로 높은 것이다.

북한이탈주민과 외국인 이민자·노동자는 각 16.5%, 7.2%의 국민이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응답해 작년 대비 5.7%p, 2.8%p 감소하는 등 최근 3년간 하락했다.

결손 가정의 자녀(2.5%), 장애인(3.2%) 등에 대한 배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우리 국민이 가장 신뢰하는 기관은 의료기관(4점 만점 중 2.9점)이었으며, 청렴도 조사에서도 의료기관이 2.8점으로 가장 높았다. 국회에 대한 신뢰 및 청렴도 조사 점수가 각 2.0점, 1.9점으로 가장 낮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