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방 소멸 가속화하는 청년 유출 막을 대책 시급하다

저출생과 인구 유출로 지방이 고사 직전이다. 가뜩이나 아기 울음소리 듣기 힘든 지방에서 청년들의 수도권 이탈은 소멸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대구경북 청년들이 대거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해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일자리와 주택, 교육과 문화를 포함한 삶의 질이 주된 이유다. 경제·교육·문화 등 삶의 환경 자체를 획기적으로 바꾸지 않는 이상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을 명분이 없다.

동북지방통계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대구경북과 수도권 청년 삶의 질 비교' 자료를 보면 지역 청년(19~39세)들의 수도권 유출과 삶의 질적 차이가 심각하다는 게 그대로 드러난다. 지난해 대구 청년인구는 2015년(70만5천 명) 대비 12만 명(17.1%) 감소한 58만5천 명이다. 경북 청년인구는 8년 전에 비해 대구보다 더 줄었다. 52만9천 명으로 2015년(69만3천 명) 대비 16만4천 명(23.7%) 감소했다. 대구경북 청년인구 비중(대구 24.6%, 경북 20.7%)도 수도권(28.3%)보다 낮았다. 지난 한 해 동안 대구와 경북에서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은 각각 8천 명, 6천 명으로 추산됐다. 대구경북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임금 직장을 구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 교육, 주택 문제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지역에서 괜찮은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데다, 근로 여건마저 열악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구경북 청년 고용률은 60%대(대구 64.5%, 경북 62.3%)로, 수도권(70.5%)에 한참 못 미친다. 월 300만원 이상 받는 청년 직장인 비율도 수도권(47.5%)은 물론 전국 평균(43.7%)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준(대구 34.4%, 경북 39.2%)이다.

취업, 임금, 교육, 경제적 만족도 등 전반적인 삶의 질이 수도권에 비해 크게 떨어지니 청년들의 이탈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지방 청년들의 수도권행은 대구경북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정부 차원의 중장기 대책이 절실하다. 지방자치단체도 기업 유치와 주거 환경 개선 등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기 위한 특단의 대책에 힘을 쏟아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