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대구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들이 지역 주민을 위한 지원 사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주민들의 대표자인 자치단체와 지역 의원들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는 "공공기관 운영에 있어 가치 판단을 어디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돼 있다"며 "상당한 예산을 투입하고도 지역민들이 체감하지 못한다면 예산 편성에 있어 기관의 자유도를 높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 사회 단체장이나 국회의원 등이 적극적으로 지역 협의체로부터 받은 의견을 공공기관과 함께 정부에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지역 주민의 수요에 즉각 응답할 수 있는 행정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역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위주로 집중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윤대식 영남대 명예교수(전 도시공학과 교수)는 "대구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지역 상생 사업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절된 느낌의 대구혁신도시와 인근 지역을 위해 상생 노력도 멈추지 않아야 한다"며 "공공기관들과 지역 주민들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고 동구청이 중재자 역할에 나서 지역의 화합을 이끌어 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은 물론, 함께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지역민들과 융화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이런 노력이 없다면 앞으로도 혁신도시는 그야말로 분지 속 섬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국힘 "李정부, 전 국민 현금 살포 위해 국방예산 905억 삭감"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
영주역 광장, 납공장 용광로보다 더 뜨거웠다…3차 궐기대회 2천여명 모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