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가 넉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유류세 인하분의 일부 환원과 국제유가 상승,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은 2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3(2020년=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6%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3월 3.1%로 높아진 뒤 지난 4월(2.9%)부터 다시 2%대로 돌아섰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5.5% 상승했다. 사과(39.6%)와 배(154.6%) 가격 상승세가 여전히 이어졌으며 배는 통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상추(57.2%)와 시금치(62.1%), 배추(27.3%) 등 채소류도 전월보다 두드러지게 올랐다.
석유류(8.4%)는 2022년 10월(10.3%)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유류세 인하폭 축소와 국제유가 상승, 지난해 국제유가가 낮았던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수는 2% 초반대에서 안정된 흐름을 이어갔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2% 상승했다.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0% 상승했다. 식품 물가가 3.4% 올랐고 식품 이외 물가는 2.7% 상승했다. 신선식품 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7.7% 상승했다. 신선어개(-1.0%)와 신선채소(-1.7%)는 떨어졌고 신선과실은 21.3%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