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급 담판인 정상외교가 중단 7개월 만인 내달 중순부터 재개될 전망이다.
외교부는 13일 6·3 대선을 통해 새 정부가 출범하면 "어떤 경우에도 차질 없이 정상외교 활동이 이뤄지도록 내용 및 의전 면에서 기본적인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내달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15∼17일)와 네덜란드에서 개최되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24∼25일)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아직 초청 여부가 공개적으로 발표되진 않았지만 캐나다와 네덜란드 모두 한국을 초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21대 대통령의 외교 수완이 취임과 동시에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2021년(문재인 전 대통령), 2023년(윤석열 전 대통령) G7 정상회의에 초청됐고 나토 정상회의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초청받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참석했다.
일단 G7 정상회의 초청을 받게 된다면 신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만남이 이뤄질 수 있다.
상호관세 유예종료 시한(7월 8일)을 앞둔 데다 오랜 기간 한·미 간 정상외교가 차질을 빚었기 때문에 재개될 한·미 정상 간 소통에 기대를 거는 목소리가 높다.
새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탑다운' 방식 회동에서 어떤 성과물을 가져올지가 최대 관심사다.
아울러 G7 회원국인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와 만남에서 새 대통령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도 관전포인트다. 내달 22일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는 날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나토 정상회의에선 대(對)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라는 서방 진영의 압박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자유주의 국가들과 연대 강도는 물론 러시아에 파병한 북한에 대한 새 대통령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는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정국 등을 이유로 지난해 11월 페루와 브라질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및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끝으로 다자 정상외교 활동이 중단됐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러시아제 소총 반입 제보받아…'이재명 테러' 철저 대비"
김문수 "가짜진보 확 찢어버리고 싶다"…이재명 '형수 논란' 겨냥?
'홍준표 책사' 이병태, 이재명 돕는다…"김문수는 반지성 지도자"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도 대선 이후로 기일 연기…추후 지정
이재명, 구미서 "박정희, 산업화 공도 있다…진영·이념 뭐가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