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량 비행 장치인 '드론'의 활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면서 국내 운용 대수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TS)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드론은 6만7천902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6만4천863대)보다 3천39대가 늘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 2천226대였던 등록 드론 수는 2017년 3천818대, 2018년 6천708대, 2019년 9천848대로 꾸준히 증가했다. 2020년부터는 1만6천159대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후 2021년 3만1천314대, 2022년 4만1천694대, 2023년 5만2천387대 등으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2020년부터 증가 폭이 더 커진 것은 같은 해 5월 시행된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규제 완화 덕분이다. 여기에 코로나19 확산으로 드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된 데다, 기술 발전으로 산업·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진 것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등록된 드론을 유형별로 보면 프로펠러 여러 개를 사용하는 무인멀티콥터가 전체의 89.7%(5만9천여대)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무인비행기(7.4%), 무인헬리콥터(2.8%), 무인비행선(0.1%) 순이었다.
용도별로는 사업용이 4만2천627대(62.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나머지는 취미나 레저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중량별로는 250g~2㎏ 드론이 37.9%(2만5천여대)로 가장 많았고, 7~25㎏(26.1%), 25㎏ 초과(20.6%) 순이었다. 이들 중량 기종은 모두 사업용이다. 현행 규정상 2㎏ 미만 비사업용 드론은 등록 의무가 없다.
드론 활성화에 따라 조종 자격 취득자도 급증하고 있다. 250g을 초과하는 드론을 운용하려면 무게별로 초보자용인 4종부터 전문가 수준인 1종까지 자격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지난달 기준 드론 조종 자격자는 64만6천여명으로, 지난해(46만6천여명)보다 약 18만명 증가했다.
전국 드론 활용 사업체는 수도권 2천148곳, 영남권 1천423곳 등 총 6천75곳으로 조사됐다. 2016년(947곳)과 비교하면 5천여 곳 이상 늘어난 수치다. 드론 제작·활용 사업체의 매출을 합산한 산업 규모는 2023년 1조993억원으로, 2019년(3천996억원)에서 연평균 22.4% 성장했다.
하지만 드론 기업의 평균 연매출은 1억6천만원(2023년 기준)에 그쳐 영세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7%에 불과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 14일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대학, 업체 등 252곳과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를 출범(매일신문 13일 보도)하며 관련 산업 도약과 국산 기술 발전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홍준표 "대선 끝날 때까지 정치포스팅 중단…당에서 밀려난 처지"
TK서 김문수 지지율 '50%선' 붕괴…국힘, 지역에 의원들 급파
'국힘 탈당' 김상욱, 이재명에 안겼다…"대통령 되는데 최선 다하겠다"
'尹 탈당'…국힘 '원팀' 이뤄 김문수 지지율 반등 시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