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복귀 조건 1순위는? 전공의들 "'尹정부 의료개혁 정책' 등 재검토"

대전협, 사직 전공의 8천458명 대상 설문 결과 발표
전공의 대표 "정부와 언제든 만날 준비 돼 있어"
李 대통령, 金 총리에 "전공의 복귀 문제 적극 나서달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 연합뉴스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 연합뉴스

의정 갈등으로 병원을 떠난 전공의 4명 중 3명 이상은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 재검토'를 복귀 선결 조건으로 꼽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5일 전국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수련 재개를 위한 "최소 선결 조건"을 물었더니 응답자 8천458명 중 76.4%(복수응답 가능)가 이같이 답했다고 7일 밝혔다.

향후 비대위가 정부에 요구해야 할 우선순위를 묻는 문항에서도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의 재검토'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입대 전공의 및 입영 대기 전공의에 대한 수련 연속성 보장 ▷불가향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등이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

수련 재개 최소 선결 조건을 묻는 질문에 '전공의 수련을 재개할 생각 없음'이라는 선택지도 있었는데, 대전협은 이 보기를 택한 응답자가 몇 %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이들 중 72.1%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정부 지정 필수과목 전공의들이었다고 밝혔다.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는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2월 필수의료 강화를 위해 단기 해법과 중장기 구조 개선을 묶어 내놓은 정책 패키지로, ▷의료 인력 확충 ▷지역의료 강화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보상체계 공정성 제고 정책이 포함된다.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 외에도 의료계가 반대하는 정책들이 포함돼 있어 의정 갈등 초기부터 전공의들은 줄곧 필수의료 패키지 백지화를 요구해왔다.

대전협 비대위는 이번 설문 결과 등을 바탕으로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와의 대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아직 (회동) 일정이 확정되진 않았다"며 "언제든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취임한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전공의 복귀 문제에 적극 나서달라"고 지시했고, 김 총리 또한 대한의사협회, 전공의·의대생 단체 대표 등과 만남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