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8월 둘째 주 전력 사용량 절정…정부 "예비력 8.8GW 안정적"

올 여름 최대 전력 수요, 역대 최고치 예상…예비력 확보 안정적 전력 공급
폭염 대응, '24시간 상황 관리' 체계 가동·폭염대책 기간 연장 운영
서민 주거 안정대책 추진…임대주택 확대 공급·임차료 지원 확대

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올여름 이른 폭염과 기습호우 등 이상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여름철 재난대응 체계와 전력 공급 상황, 민생 안정 대책 등을 점검했다.

올해 폭염이 절정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8월 둘째 주 전력 수요가 역대 최고치(97.8GW)에 이를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다만 전력 공급 능력을 사전에 확보해 지난해에 비해 원활한 전력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여름철 전력 수급 전망 및 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올해 최대전력 수요가 '8월 둘째 주 평일' 오후 5∼6시쯤 94.1∼97.8GW(기가와트)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전력 수요가 정점에 달하는 시기를 전후로 작년보다 1.2GW 증가한 총 106.6GW의 공급 능력을 확보해 최대 전력 예상 수요를 뜻하는 '상한 전망' 수준까지 수요가 올라도 예비력이 8.8GW로 안정적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날부터 9월 19일까지 72일간 여름 전력 수급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관계 기관과 비상 대응 체계를 운영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폭염·집중호우·태풍 대비 국가재난대응체계, 서민 주거 안정대책 등도 논의됐다.

정부는 폭염 대응을 위해 24시간 상황관리 체계를 가동하고, 각 부처별로 대응책을 추진한다. 행정안전부는 범정부 폭염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폭염대책기간을 기존보다 5일 앞당겨 5월 15일부터 운영 중이다. 상습 침수지역 및 인명피해 우려 지역, 산사태 취약지역, 산불 피해지역 등도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는 폭염 안전 특별대책반을 운영하고 건설·조선·물류 등 폭염 고위험 사업장을 중심으로 현장 대응을 강화한다. 50인 미만 소규모 폭염 고위험 사업장에는 이동식에어컨, 제빙기 등 온열질환 예방 장비를 이달 말까지 신속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관련 기관과 공초체계를 유지하면서 여름철 농업재해 대책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한다.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등 농업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기술지원단과 콜센터를 통해 고령 농업인 돌봄과 낮 시간대 농작업 자제 안내 등을 강화한다.

환경부는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신속한 홍수예보 체계를 구축하고, 하천변 사람·차량을 자동 인식하는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부는 이날 서민 주거 안정 대책도 검토했다. 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공공분양은 이익공유형, 지분적립형 등 부담 가능한 주택 모델을 발굴해 공급한다.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저소득 가구에 임차료 또는 주택 수선비를 지원하는 주거 급여의 수급대상 가구 수와 지원 금액을 확대하고, 저소득·무주택·독립 청년에게 월 20만원씩 제공되는 청년월세는 2차 추경을 통해 지원한다.

전세사기 피해자 구제를 조기화하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피해주택 매입 기간을 단축하는 절차를 마련하는 등 매입 속도를 높인다. 이와 함께 공공임대주택 지원 대상 확대 및 소방시설 관리 강화 등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을 통한 추가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김 총리는 "실제 현장에 와닿을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추가 점검해 비상하고 섬세한 정책을 해달라"고 관계 부처에 당부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