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엘앤에프, SK온과 LFP 양극재 공급 계약 체결…"탈중국 공급망 선도"

엘앤에프 구지 공장 전경. 엘앤에프 제공
엘앤에프 구지 공장 전경. 엘앤에프 제공

배터리 종합 소재 전문기업 엘앤에프가 SK온과 함께 북미 LFP(리튬·인산·철) 시장 공략에 나선다. 미중 관세 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이 주도하는 LFP 배터리 공급망에 균열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엘앤에프에 따르면 회사는 SK온에 LFP 양극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전날 체결했다. 지난 5월 국내 대형 배터리 제조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약 한 달 만에 체결된 신규 업무 협약이다.

이병희 엘앤에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최근 국내 주요 배터리 업체들과의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향후 수요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 면서 "고객사들과 구체적인 물량을 확정해 중장기 공급계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엘앤에프는 국내 소재 업체 중에서는 LFP 양극재 사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파일럿 라인에서 제품을 출하하여 고객사에 납품을 하고 있으며, 최종 제품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또 지난 10일 이사회를 개최해 LFP 양극재 사업을 위한 신규법인 설립 및 신설 법인에 대한 지분 취득을 결정했다.

LFP 배터리 및 양극재는 저가형 전기차 라인업 확대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에 필수적인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에 힘입어 관련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

엘앤에프는 "미국의 세금 및 지출법안(One Big Beautiful Bill, OBBB)이 통과됨에 따라 일부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AI 데이터센터 급증 및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 증가에 따른 ESS 수요 확대 등으로 배터리 셀 업체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산 LFP 양극재 등 배터리 소재에 대한 러브콜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의 보조금 문제로 세계 각국에서 산업보호를 위해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탈중국 원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중국 외 배터리 서플라이체인을 확보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기에 새로운 기회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한편, 엘앤에프는 대구 국가산업단지에 배터리 소재 설비를 증설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연간 6만t 규모의 LFP 양극재 생산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