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고독사' 작년 124명…해마다 10%씩 늘었다

'50~60대 남성' 고독사 취약계층…남성이 여성의 5배
인구 10만명 당 비율 대구 5.2명으로…연평균 9.9% 증가

14일 대구 두류육교에 자살 예방 홍보물이 부착돼 있다. 보건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2022년 고독사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족 등과 단절된 채 살다 혼자 임종을 맞이한 고독사 사망자는 모두 3천300여 명으로, 50~60대 남성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14일 대구 두류육교에 자살 예방 홍보물이 부착돼 있다. 보건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2022년 고독사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족 등과 단절된 채 살다 혼자 임종을 맞이한 고독사 사망자는 모두 3천300여 명으로, 50~60대 남성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에서 주변과 단절된 채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 비율이 해마다 10%씩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 60대 중장년 남성이 고독사에 특히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14일 최근 5년 동안 한국에서 발생한 고독사 현황을 분석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4월 시행된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음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구에서 발생한 고독사는 지난 2017년 85명에서 지난해 124명으로 5년 만에 45.8% 증가했다. 연 평균 고독사 증가율은 9.9%로 전국 평균(8.8%)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경북의 고독사도 116명에서 180명으로 55.1% 늘었다. 경북의 5년 간 연평균 고독사 증가율은 11.6%로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대구의 인구 10만명 당 고독사 발생 건수는 5.2명으로 전국 평균(6.6명)보다 낮았다. 다만 경북(6.9명)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는 부산(9.8명)과 대전(8.8명)이 높았고, 인천(8.5명), 충남(8.3명), 광주(7.7명) 등의 순이었다.

고독사에 가장 취약한 건 50, 60대 중·장년층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구에 발생한 고독사 사망자 124명 가운데 50대(39명)와 60대(31명)가 56.4%로 절반을 넘었다.

특히 매년 남성이 여성에 비해 4배 이상 많았고, 지난해에는 5.3배로 격차가 확대됐다.

이는 50, 60대 남성의 경우 건강 관리나 가사노동에 익숙하지 못하고 실직·이혼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연령대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사를 주관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고숙자 연구위원은 "고독사 정책을 관심 있게 추진하는 지역들은 정책적 효과를 본 것으로 예측한다"며 "향후 지역별로 어떤 대책을 수립하고 있는지 분석해 고독사 증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서울, 부산, 대구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고독사 예방·관리 시범사업'을 지난 8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대구시는 올해부터 노후빌라 및 쪽방촌, 1인 가구 및 2인 취약가구, 50세 이상 1인 가구를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고독사의 위험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