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를 수색하던 해병대원이 실종되자 최소한의 안전장구도 없이 작업을 지시한 해병대에 대해 비판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19일 해병대 1사단 등에 따르면 경북 예천군 실종자 수색에 투입됐다가 내성천 급류에 휩쓸린 A(20) 일병은 구명조끼를 비롯해 아무런 구호 장비 없이 현장에 투입됐다.
해병대 1사단 측은 "수색에 투입된 장병들에게 구명조끼를 입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물에 들어갔을 때 깊지 않았으며, 소방 당국과 협의가 이뤄진 하천 간 도보 수색 활동이었다. 유속이 낮은 상태에서 지반이 갑자기 꺼질 줄 몰랐다"고 해명했다.
이날 오전 보문교 일대 내성천에 투입된 장병 39명은 9명씩 짝을 맞춰 장화를 신고 횡으로 대열을 이뤄 강바닥을 수색했다.
수난사고 시 로프로 하천을 수색하는 119구조대와 달리 사람들이 일렬로 선 채 물속을 조금씩 전진하는 방법이다.
해병대원들이 입고 있던 멜빵장화도 사고 위험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사고를 목격한 주민들은 "가슴 높이까지 일체형으로 제작된 멜빵장화를 입고 허리 높이 물에 들어가면 내부에 물이 들어찬다. 그러면 물에 빠졌을 때 몸이 둔해져 헤엄치기 더 어렵다"고 지적했다.

사고를 목격한 해병대 간부가 직접 신고하는 대신 주민에게 신고를 요청한 점도 의문을 키운다.
해병대 측에 따르면 당시 수색하던 대원들은 휴대전화 없이 활동했으며, 지휘관에게는 휴대전화가 있었다. 그러나 사고 직후 한 간부는 주민에게 달려가 신고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휘관이 직접 신고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해병대 측은 "답변할 수 없다"고 했다.
최초 신고자라고 밝힌 한 주민은 "부사관으로 보이는 해병대 간부 한 명이 다급하게 뛰어와 119 신고를 요청해 오전 9시 11분쯤 신고했다"며 "119 구급대는 체감상 10분 안에 왔지만 해병대원은 이미 떠내려간 뒤"라고 말했다.
이어 "내성천은 모래 강이라서 보통 강과는 다르다. 갑자기 3m씩 아래로 빠지는데 그 아래가 펄이라서 강가에서나 도보 수색을 해야 했다. 왜 가운데까지 들어가는지 지켜보면서도 이해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실종자 구조를 위해 동원된 해병대, 경찰, 소방 당국 등 기관별로 경쟁이 벌어지자 해병대가 무리하게 수색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대개 경찰과 소방 당국은 수색 구조를 위해 구명보트, 드론, 구조견, 안전모, 구명조끼, 로프, 탐침봉, 구명환을 활용한다.
군인권센터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해병대 병사 실종은 무리한 임무 투입으로 발생한 인재"라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이재명, 이재용 만나 "기업 잘 돼야 나라 잘 돼…경제 성장 견인차 부탁"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불출석… "또 안 나오면 과태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