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염색산업단지 열병합발전소 탄소배출 극심… "폐쇄 촉구"

1980년 서구 비산동일대에 조성된 염색산단
산단 내 열병합발전소 탄소배출량 대구 전체의 8.6%
"서구 주민들 극심한 환경오염에 시달리고 있어"

5일 오전 11시 대구환경운동연합과 정의당·녹색당 대구시당 등으로 구성된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시민모임은 대구 중구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구 염색산업단지의 열병합발전소 폐쇄를 촉구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5일 오전 11시 대구환경운동연합과 정의당·녹색당 대구시당 등으로 구성된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시민모임은 대구 중구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구 염색산업단지의 열병합발전소 폐쇄를 촉구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시민모임이 서구 염색산업단지의 열병합발전소 폐쇄를 촉구했다.

5일 오전 11시 대구환경운동연합과 정의당·녹색당 대구시당 등으로 구성된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시민모임은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연탄을 쓰는 서구 염색산업단지 내 석탄화력발전소를 즉각 폐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1980년 서구 비산동 일대에 조성된 염색산단은 열병합발전소를 단지 내 공공에너지공급시설로 두고 있다. 열병합발전소는 탄소를 배출하는 석탄을 주원료로 사용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에 따르면 1987년 준공된 열병합발전소를 포함한 염색산단의 탄소 배출량은 2018년 기준 한 해 80만t으로 대구 전체 탄소 배출량(934만t)의 8.6%를 차지한다.

이들은 "열병합발전소에서 나오는 탄소 배출량과 대기오염물질로 인해 서구 주민들이 현재까지도 극심한 환경오염에 시달리고 있다"며 "대구시는 문제가 되는 유연탄 사용을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이어 "유연탄을 액화천연가스(LNG)로 연료 전환할 시 미세먼지와 온실가스가 대폭 절감될 것"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