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DI, 내년 성장률 전망 2.3→2.2%…예측보다 더 낮아져

KDI,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 발표
물가 전망은 2.5→2.6%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이 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하반기 KDI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은 정규철 경제전망실장. 연합뉴스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이 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하반기 KDI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은 정규철 경제전망실장. 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2%로 낮춰 잡았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전망치보다 소폭 내린 1.4%로 예상했다.

KDI는 9일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2024년 우리 경제는 내수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2.2%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5월과 8월과 비교하면 각각 0.1%포인트(p) 낮은 전망치다. 국제통화기금(IMF)·한국은행 전망치와 동일하고, 정부 전망치보다는 0.2%p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2.1%)보다는 소폭 높게 전망됐다.

KDI는 내년 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2%)을 소폭 상회하겠으나 올해 낮은 성장률의 기저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올해 GDP 성장률은 8월 수정 전망치(1.5%)보다 0.1%p 낮은 1.4%로 예상했다.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은 8월 전망치보다 0.6%p 낮춘 1.8%로 예상했다. 설비투자 역시 고금리 기조로 부진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수출의 완만한 회복과 2023년(0.2%)의 기저효과로 2.4%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이라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주택 부문 건설 수주 위축 여파로 1.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서비스 수출은 여행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경상수지는 수출 회복세에 더해 내수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흑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전망치(2.5%)보다 0.1%p 올려 잡았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8월보다 0.1%p 높은 3.6%로 예상했다. 다만 내년 소비자물가는 내수 증가세 둔화 영향으로 올해보다는 다소 안정을 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물가 안정을 위해 거시 경제 정책은 당분간 긴축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며 "다만 국내 물가상승률이 주요국에 비해 낮은 편인 만큼 미국과 같은 강한 통화 긴축 기조는 요구되지 않고 당장 긴축적 기조를 더 강화할 필요는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