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급증하는 소규모 학교, 방치하면 지방 소멸 가속화

학령인구 감소 여파로 '소규모 학교'가 늘고 있다. 4년 뒤면 대구의 초등학교 10곳 중 3곳이 소규모 학교가 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소규모 학교는 교과 전담 교사 부족 등으로 교육의 질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소규모 학교는 곧 통·폐합이 되고, 결국 지방 소멸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소규모 학교가 자연 도태되도록 방치해서는 안 될 이유다.

대구시교육청의 '대구 초교 배치 전망' 자료를 보면, 대구의 초교 242곳 가운데 소규모 학교(전교생 200명 이하·군 지역 60명 이하)는 올해 37곳에서 2028년 81곳으로 2배 넘게 늘어난다. 즉, 4년 뒤에는 초교 중 33.5%가 소규모 학교로 축소되는 것이다. 원인은 저출생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다. 대구의 초교생 수는 올해 11만6천188명에서 2026년 10만3천934명, 2028년 8만7천532명으로 급감한다.

소규모 학교는 앞으로 더 늘어난다. 학생 수가 계속 줄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개발원(KEDI) 자료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생 수는 올해 513만1천218명에서 2026년 483만3천26명으로 감소한다. 소규모 학교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학급 내 단체활동, 운동회 등은 물론 향후 정부가 추진할 늘봄학교(돌봄+교육) 운영이 어렵게 된다. 학교 급식은 채산성 악화로 차질을 빚을 수 있다. 교사 수는 학생 수에 맞춰 줄지만, 갖가지 교육행정 업무는 그대로여서 교사의 업무 부담은 늘어난다.

소규모 학교의 미래는 어둡다. 학생 수 감소에 따른 교육 당국의 대책은 학교 통폐합뿐이기 때문이다. 통폐합은 근본 처방이 아니다. 통폐합은 지역 공동(空洞)화를 앞당긴다. 다행히 소규모 학교를 살리기 위한 시도가 있다. 경북교육청은 올해 소규모 중학교 2~4곳이 함께 체육대회 등을 진행하는 '연합교육'을 시범 운영한다. 강원교육청은 '1면(面) 1교(校)' 정책을 추진하고, 초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을 통합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획일적인 통폐합은 능사가 아니다. 교육 당국은 지자체와 협의해 소규모 학교를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